지난 29일 열린 공교육 정상화 전국교사 집회에서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102명의 이름으로 공동성명서를 낭독하는 교수들. 사진 강나리 기자.
지난 29일 열린 공교육 정상화 전국교사 집회에서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102명의 이름으로 공동성명서를 낭독하는 교수들. 사진 강나리 기자.

지난 29일 전국교사들이 모인 공교육 정상화 집회에서는 미래의 교사를 양성하는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102명의 이름으로 ‘교육 정상화를 위한 성명서’ 발표가 있었다.

교수들은 성명서에서 “한 초등교사의 죽음이 모든 교육공동체 구성원을 연결하는 고통이 되었다. 스승으로서 지켜주지 못해 한없이 참담하다”며 “교육 정상화는 교사 인권의 회복이 그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자신의 무한한 욕망을 투영하며 타인의 인권을 훼손하는 공동체에게는 미래가 없다. 교육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미래가 없으면 아이들의 미래가 없다는 것이고 나아가 대한민국의 미래 또한 없다는 의미”라고 했다.

아울러 “대한민국의 교육이 현재와 미래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것이라면 그 책임 또한 우리 모두의 것이다. 교사 인권 회복이라는 교육 정상의 자리에 교사와 학부모, 학생, 교육관계자 모두의 동참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서울교육대학교 교수진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수진은 "스승으로서 지켜주지 못해 한없이 참담하다"며 교사 인권 회복이 교육정상화의 시작이라고 밝혔다. 사진 강나리 기자.

교수들은 정부와 사회를 향해 3가지를 요구했다.

첫째, 서이초 교사 죽음에 관한 진상을 철저히 규명하라. 둘째,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학교를 대상으로 제기하는 비정상적인 민원들을 교육 활동 침해행위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 달라. 셋째, 정치권은 진영논리를 떠나 교육 정상화를 위한 법안의 재개정에 대해 진심으로 임해 달라.

또한, 서울교대 교수들의 이행사항 3가지를 약속했다. 첫째, 교사 인권, 학생 인권 회복의 날까지 교육가족 곁에서 함께 하겠다. 둘째, 전국 교육대학교 및 사범대학과 연계하여 교사 인권 회복을 위한 문제의식과 대책을 함께 고민하겠다. 셋째 718 교육공동체 인권연구소를 설립하고 교육공동체의 인권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실효성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제안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