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지식을 오늘날 생활의 지혜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 성과가 보고서 발간됐다.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공동체가 전승하고 있는 무형유산을 발굴하고 그 가치를 심층적으로 연구한 ‘무형유산 조사연구’ 보고서 3종을 최근 발간했다. 

삶을 위한 지혜, 전통지식 보고서 3종 첫 발간

전통지식 보고서[이미지 문화재청]
전통지식 보고서[이미지 문화재청]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공동체가 전승하고 있는 무형유산을 발굴하고 그 가치를 심층적으로 연구한 ‘무형유산 조사연구’ 보고서 3종을 최근 발간했다. 

이번에 발간한 보고서 『물때지식』, 『해조류 채취와 전통어촌공동체』, 『심마니와 약초꾼의 습속』은 그동안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추진한 <한국무형유산종합조사 심화연구>의 농경·어로 관련 전통지식 분야 연구결과를 책자로 엮은 것이다. 

각 주제 관련 자연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전승지식, 관련 공동체의 형성과정 및 지역별 전승유형, 그 문화적 관습과 가치 등을 무형유산적 관점에서 분석했다. 특히, 이 보고서는 지난 2017년도부터 2020년까지 4년간 농경과 어로 분야에서 수집한 현장자료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생업 관련 전통지식과 공동체 문화 또한 무형유산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데 의의가 있다. 

 『물때지식』에는 우리나라 바다의 조석간만 차이에 대한 전통지식인 물때지식이 주변국보다 특히 발달해 왔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해안가 주민들의 생업, 문화 등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풍부한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보고서에서는 △물때지식의 역사성  물때력의 체계와 구성  △물때 관련 민속지식 △물때에 적응해온 삶의 다양성 △물때지식의 현대적 활용 양상 등의 순서로 물때지식의 무형유산적 가치와 의미를 수록했다.

『해조류 채취와 전통어촌공동체』는 해조류가 자생하는 갯바위와 그것을 둘러싼 다양한 어촌공동체의 문화를 무형유산의 시각으로 분석함으로써 해조류 채취기술과 갯바위에 대한 어촌공동체의 공유문화가 곧 무형의 자산임을 보여준다. 보고서는 △한반도에서 해조류의 소비 △해조류를 둘러싼 공동체의 관행 △동해부터 남해까지의 해조류 공동체 유형 △해외 비교 사례 등의 순서로 해조류 채취 공동체의 문화적 양상과 무형유산적 가치를 수록했다.

『심마니와 약초꾼의 습속』은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산삼과 약초를 전문적으로 채집해온 심마니와 약초꾼의 공동체 문화와 그들의 생태지식 등을 기술한 보고서로 현대사회에서도 자연에 대한 존중과 경외심이 무형의 문화로서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산삼․약초 채취와 활용의 역사성 △심마니와 약초꾼의 존재양상과 전통지식 △강원·충청·경상·전라권의 생산관행과 문화 등의 순서로 심마니와 약초꾼의 문화적 양상과 무형유산적 가치를 수록했다.

올해 발간한 3종의 ‘무형유산 조사연구’ 보고서는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을 통해 열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