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1년) 일본이 만주사변 이후 대륙침략을 확대하고 무모한 전쟁으로 아시아 국가에 많은 피해를 줬다."

여기까지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오는 14일 발표할 예정인 '전후 70년 담화(일명 아베 담화)'에 대한 윤곽이 나왔다. 그런데 주변국에 사죄하는 표현은 이것뿐이다.

전후 70년 담화의 자문을 맡은 '21세기 구상 간담회'가 지난 6일 아베 총리에게 담화에 대한 최종 보고서를 제출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이 보고서를 토대로 14일 담화를 발표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이 중국을 '침략'하여 많은 피해를 줬다는 것은 인정했다. 하지만 한국을 '식민지배'했다는 것은 사실만 언급할 뿐 그에 대한 사죄는 일언반구(一言半句)도 없다.

문제는 이것만이 아니다. 보고서는 "(한국이) 일본과 이성적으로 교류하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고 명시하고 있다. 우리 정부가 일본과의 외교관계에서 과거사를 이유로 이성적으로 행동하지 못한 채, 감정적인 혼란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다.

올해 6월만 하더라도 경색 국면이던 한일 양국 관계가 해빙 무드에 들어서는 듯했다.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아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각각 서울과 도쿄에서 열린 상대국 기념행사에 참석하면서 관계 개선 신호를 주고받았다.

하지만 이후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문제를 둘러싸고 일본이 '강제노동'을 전면 부인하면서 양국 간에 다시 갈등이 커졌다.

이런 가운데 박 대통령의 동생인 박근령 전 육영재단 이사장은 지난 4일 일본 동영상 사이트 니코니코에서 방영된 인터뷰에서 망언을 해서 구설에 올랐다. 박 전 이사장은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우리가 더 잘 챙기지 않고 자꾸 일본만 타박하는 뉴스가 나가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게다가 그는 "(한국 정부가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문제 삼는 것은) 내정간섭이라고 생각한다"며, 일왕을 '천황폐하'라고 일본어로 말하기까지 했다.

가깝고도 먼 나라가 바로 일본이다. 그 어느 나라보다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그만큼 지난 역사 속 해결해야 할 문제와 갈등이 많은 것도 일본이다. 또한, 앞으로 더 많은 협력과 교류를 해나갈 이웃이기도 하다.

오는 8월 15일은 광복 70주년이다. 아베 담화에 분명한 사과의 뜻이 담기기를, 박 전 이사장과 같은 이들이 더는 망언을 하지 않기를 바라 마지않는다. 여기에 덧붙여 광복 70주년을 맞아 지난 과거를 토대로 양국이 미래지향적인 협력적 동반자로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나가는 그 시작점이 되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