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콘셉트 사진. 장소특정형 투어전시복합공연 "정릉사색"이 6월13일(화)부터 18(일)까지 6일간 평일 7시, 주말 4시 정릉골 투어를 한 후 복합공간 ‘공백공유’에서 진행된다. 사진 정릉사색팀
공연 콘셉트 사진. 장소특정형 투어전시복합공연 "정릉사색"이 6월13일(화)부터 18(일)까지 6일간 평일 7시, 주말 4시 정릉골 투어를 한 후 복합공간 ‘공백공유’에서 진행된다. 사진 정릉사색팀

장소특정형 투어전시복합공연 <정릉사색>(작/연출 이지영)은 정릉을 실제 산책한다. 이 공연에서 '정릉을 걷는 것'이 공연의 일부이자 중요한 요소이다. 공연은 6월13일(화)부터 18(일)까지 6일간 평일 7시, 주말 4시 정릉골 투어를 한 후 복합공간 ‘공백공유’에서 진행된다.

“여러분의 하루는 잘 흘러가고 있나요? 그리고 남들의 속도와 방향에 구애받지 않는 자신만의 확고한 길이 있나요?” 이 공연은 이 질문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정릉을 각각 다른 생각과 속도로 걷는 네 명의 이야기를 통해 관객에게 ‘자신들의 청춘이 그만의 독특한 생명력과 아름다움을 지키고 잘 흘러가고 있는지’ 반추하게 한다.

네 명의 인물 중 예술가는 직업에서 오는 불안과 강박, 코로나19 라는 통제할 수 없는 상황 때문에 많이 흔들렸지만 끝까지 세상을 긍정하려는 봄과 같은 사람이다. 두 번째 환경운동가는 세상의 속도와는 별개로 자신의 신념과 가치를 최우선으로 삼는, 그야말로 열정 가득한 여름같은 사람이다. 스스로 자신을 서슴없이 ‘관종’이라 부르는 크리에이터 청년은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기 위해 아니, 더 정확히는 앞서가기 위해 쫓기듯 살다 문득 ‘이것이 내가 원하는 삶의 방향인가?’ 하는 근원적 질문과 마주하게 된다. 이 청년은 내면의 물음들에 대한 답을 잘 찾아가면 곧 자신이 꿈꾸는 열매를 맺을 것이라 기대하는 가을과 같은 사람이다. 마지막으로 세상의 속도에 휘둘리지 않고 잠시 자신의 삶을 방 안에서 멈추게 한 은둔 청년. 그는 이제 자신의 내면과 화해하고 꽁꽁 얼어버린 자신을 녹여 밖으로 다시 흘러가게 하려는 겨울 같은 사람이다. 이들은 스스로 자각하지 못하지만 정릉을 매개로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다.

정릉사색 연습사진. 사진 정릉사색팀
정릉사색 연습사진. 사진 정릉사색팀

이지영 연출과 창작진은 근 2년 동안 정릉을 참 많이 걸었다. 빠르게 변하는 서울 도심 속 쉽사리 변하지 않는 풍경을 품고 있는 특별한 장소인 정릉에서 ‘우리는 스스로가 원하는 속도와 방향대로 잘 흘러가고 있는가?’를 많이 자문했다.

이지영 연출은 “정릉의 보물이자 마스코트인 1급수에서만 사는 버들치, 정릉천을 품고 있는 이색적인 재래시장인 정릉시장, 곧 재개발이 되는 정릉골을 보며 쫓기듯 살아 온 우리들의 삶의 여정도 되짚어 보았다”며 “이번에는 정릉에서 자신만의 속도와 방향을 찾아가는 4인 4색의 이야기들을 통해 공연을 보는 관객들에게 자신의 삶과 제대로 마주하고 사유하는 시간을 드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정릉사색 포스터. 이미지 정릉사색팀
정릉사색 포스터. 이미지 정릉사색팀

<뇌 까리다_젠더탐구> <사천의 선인> <최종면접> <이유는 있다> <빌미> <블루사이공><댓글부대>에 출연한 정연심, <모든 군인은 불쌍하다><하얀산> <불량청년> <광해, 왕이 된 남자>의 안재민, <뇌 까리다_젠더탐구> <K맨즈랩소디><자본2> <자본 1> <사시나무 숲>에 출연한 이태하, <두 개의 시선> <사개상가> <홀연했던 사나이>에 출연한 이창근이 나온다.

이번 <정릉사색>을 연출한 이지영 연출은 <뇌 까리다>, <뇌 까리다-권력탐구>을 연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