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은 12월 8일(수) 오후 3시 30분 서울 밀레니엄 힐튼호텔에서 '글로벌 코로나19 대응전략과 바이오헬스 산업의 정책과제'를 주제로 '헬스케어 미래 포럼'을 개최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주요 이슈와 정부의 정책에 대하여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방향성 설정을 위해 산업계, 학계,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여 주제발표와 토론을 하는 ‘헬스케어 미래포럼’을 2019년 4월부터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제10회 토론회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민들의 일상회복을 위한 바이오헬스 산업의 여러 과제와 발전방안을 논의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이번 토론회는 <1분과> 주제발표와 <2분과> 정책토론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먼저 <1분과>에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장영욱 연구위원은 옥스퍼드대학교의 국가별 정부 정책 대응 지수를 활용한 '주요국 코로나19 대응전략 비교'라는 주제 발표를 했다. 장영욱 연구위원은 지리적 환경, 인구구조 등 감염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이 매우 다양하여 방역 당국의 대응은 수많은 요소 중 한 가지에 불과하고 강력한 방역은 단기적으로 경제를 악화시키나, 장기적으로는 방역의 효율성에 따라 경제에 대한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장 연구위원은 코로나19 방역 대응: 비교와 평가에서 인구대비 확진자 수, 사망자 수, 백신접종률, 초과사망을 비교하고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수는 방역 대응의 성적표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포스터=보건복지부]
[포스터=보건복지부]

 

그는 주요국 대응 평가 시 주의할 점으로 확진자 집계의 부정확성을 먼저 들었다. 확진자 수와 감염자 수가 일치하지 않는데, 이는 코로나19의 특성상 무증상, 경증 비중 높고 검사하지 않으면 알 수 없기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사망자 수도 과소평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초과사망 추정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장 위원은 코로나19 확진자 수와 사망자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양하다을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진원지(epicenter)와의 교류 정도, 지리적 환경(기온, 습도, 내륙/섬), 내국인 건강 상태(비만율, 흡연자 비중, 기저질환자 비중, 면역 체계 등), 인구구조(평균 연령, 고령 비중 등), 의료 역량 (1인당 의료진 및 병상 수, 중환자 설비, 공공의료 비중 등), 위생에 대한 인식 (마스크 착용, 손씻기, 비말 접촉 등) 등 요인이 다양하고 방역 당국의 대응은 수많은 요소 중 한 가지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장 위원은 코로나19 대응은 각 국가의 사회경제적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며 “사회경제적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국가만 해당 방역 조치를 적극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장 위원은 방역과 경제와 관련하여 강력한 방역은 단기적으로는 경제를 악화시켜 특히 소비재(내구재), 운수업, 숙박 및 요식업 타격이 크다면서 장기적으로는 방역의 효율성에 따라 다르다고 설명했다.

이어 두 번째 발표자인 서울대 홍윤철 교수는 ’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주제로 질병에서 사람 중심으로, 병원에서 사회 중심으로, 의료전달체계에서 의료협력체계 등 ’분산형 의료체계‘로 전환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의료데이터의 표준화와 스마트의료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스마트의료는 전통적인 의료서비스에 ICT를 융합한 비용효율적인 의료서비스를 말한다.

이어진 <2분과> 정책토론에서는 ’코로나19와 바이오헬스 산업, 정책과제와 발전방안‘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진행하였다

연세대학교 송시영 교수가 좌장으로 대한의사협회,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등 의료계와 보건산업계, 산업연구원 및 의료전문기자 등이 함께 참여하여 바이오헬스 산업의 발전방안을 논의하였다.

정책토론에서는 코로나19 세계 대유행(팬데믹)에서 확인할 수 있는 우리나라 바이오헬스 산업의 성과 및 한계와 ▲보건의료 패러다임 전환과 코로나19의 영향, ▲코로나19와 우리 바이오헬스 산업의 기회,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생태계 조성 과제, ▲코로나19 극복 및 다음 세계 대유행(팬데믹)을 대비한 바이오헬스 산업의 정책과제 등 다양한 쟁점을 심도 있게 논의를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