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4년 명상황후가 시해된 을미사변이 발생했을 때 시해 가담자 처벌과 주모자 추방 등을 요구해 일본 정부가 사변에 가담했음을 인정하도록 만든 외교관이 있었다. 서울 주재 초대 러시아 공사로 12년 간(1885년~1897년) 러시아의 대조선정책을 최일선에서 담당했던 카를 이바노비치 베베르이다. 베베르는 동아시아 역사, 지리, 민속, 문화전문가였다.

한러 수교 30주년을 맞아 동북아역사재단은 번역총서 '러시아 외교관 베베르와 조선'을 발간했다. [사진=동북아역사재단]
한러 수교 30주년을 맞아 동북아역사재단은 번역총서 '러시아 외교관 베베르와 조선'을 발간했다. [사진=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재단은 최덕규 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 연구위원과 김종헌 고려대 연구교수의 번역으로 ‘러시아 외교관 베베르와 조선’을 발간했다. 2013년 모스크바에서 출간된 벨라 박 교수(러시아과학원 동방학연구소)의 동명 서적을 번역한 것이다.

이 책은 외교관으로서 생의 전성기를 보냈던 베베르의 조선 경험에 대한 일대기이다. 러시아와 조선 최초의 외교관계 수립과 전개과정에 남긴 베베르의 족적을 따라가는 여정을 통해 19세기 말 조선의 격동기와 마주하게 된다.

베베르 러시아공사는 청, 일본과 기타 제국주의 국가들의 조선에 대한 침략적 정책을 무력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그가 고종의 신뢰를 한 몸에 받았기에 일본의 무자비한 위협을 피해 고종이 1년간 왕궁을 떠나 러시아공사관에 머문 아관파천(1986. 2.11.~1897.2.20.)도 일어났다.

원 저자인 벨라 박 교수는 베베르와 관련된 각종 공문서와 보고서, 전문, 메모, 편지 등 다양한 자료를 통해 베베르의 활동을 다각적으로 복원하고자 했다. 조러 수호통상조약 체결부터 청일전쟁, 아관파천 등 시간 순으로 베베르의 활동을 추적한 기록이다.

발간된 책 표지에는 상복을 입은 고종과 왕세자(훗날 순종)가 베베르와 함께 러시아공사관 현관에서 찍은 사진이다. 이 사진은 국내에는 처음 소개된 자료로, 상복을 입은 것으로 보아 러시아공사관에 고종이 머물던 1896년 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올해는 한국과 러시아의 전신인 소련과 수교한 지 30년이 되는 해이다. 러시아 공사 베베르가 활동했던 시기는 한‧러 관계의 원형이 만들어진 시기이기에 이번 출간은 의미가 크다. 고종의 북방정책에 대한 성찰과 한러 관계의 미래를 전망하는 길잡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 435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