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한일수교 50주년이다. 그러나 양국의 미래지향적인 관계는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로 퇴행을 맞이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민간 출판사의 교과서에 군 위안부와 관련한 내용을 삭제한 것을 용인했기 때문이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스우켄 출판은 지난해 11월 20일 자사의 현 고등학교 공민과(사회) 교과서 3종의 기술 내용에서 ‘종군 위안부’, ‘강제연행’ 등의 표현을 삭제하겠다며 정정 신청을 냈다. 이에 대해 문부과학성은 지난해 12월 11일 이를 승인했다. 따라서 스우켄 출판의 고등학교 ‘현대사회’ 2종, ‘정치·경제’ 1종 총 3개 교과서에서 ‘종군 위안부’, ‘강제연행’ 등의 표현이 삭제된다. 더 가관인 것은 스우켄 출판사는 일본의 전쟁 책임 문제를 열거한 내용을 없앴다는 것이다. 오는 3월 말과 4월초에 있을 일본 중학교 교과서 검정에도 비슷한 상황이 재연될 것이라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는 교과서만 해당하지 않는다. 진실을 보도해야 할 일본 언론 또한 역사 왜곡에 나서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11월 말 일본 최대 발행부수를 자랑하는 요미우리신문은 그동안 써왔던 ‘성노예’라는 표현을 쓴 것에 대해 사과했다. 아사히신문 또한 한국 여성들이 일본군 ‘위안소’에 강제 동원됐다는 기사에 대해 잘못된 증언이 바탕이 됐다는 이유로 기사를 취소했다. 
 
일본 교과서 변경과 언론사의 말 바꾸기는 장기 집권하는 아베 정권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라고 전문가는 지적한다. 아베는 ‘군 위안부는 성 노예라는 주장은 근거 없는 중상’이라고 말했던 장본인이다.
 
일본 정부가 ‘역사수정주의’를 강화할수록 한일관계는 멀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자라나는 일본 청소년들이 잘못된 역사를 배울 것을 생각하니 앞날이 걱정이다. 
 
그렇다면 방법은 무엇인가? 그것은 극우주의를 반대하는 일본의 양심(良心)을 전 세계에 알리는 것이다.
 
대표적인 인물은 1991년 일본군 위안부 한국인 피해자의 첫 증언을 보도했다는 이유로 본인은 물론 가족의 살해 협박을 받고 있는 에무라 다카시(植村隆) 전 아사히신문 기자이다. 그는 “부당한 협박에 절대 굴복하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두 번째는 2007년 미국 하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을 통과시킨 주역인 혼다(本田実) 의원이다. 그는 지난해 12월 박근혜 대통령을 만난 뒤 “위안부 문제는 현재와 미래의 문제라는 데 대해 적극 공감한다”며 “아·태 지역 화해를 위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책임 인정과 피해 할머니들에 대한 최선의 정의가 실현돼야 한다”고 화답했다. 
 
이들이야말로 일본 청소년들의 롤모델인 것이다. 지난 11일 A급 전범인 외조부 기시 노부스케 전 총리의 묘를 참배한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아니다. 한국 정부 또한 일본의 양심들과 손을 잡고 아베의 역사수정주의에 맞서야 한다. 이는 대립과 갈등의 한일관계 넘어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