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차문화와 차학(茶學)의 혁신을 위해 비판과 대안을 제시하고, 진정한 한국 전통차의 원형인 수양다도를 살려내자는 거침없는 외침을 담은 두 권의 책이 출간되었다.

한국 전통제다 및 전통 차문화의 원형을 이야기한《녹차, 다산에게 묻다》(최성민,김은정 지음). 사진 책과 나무
한국 전통제다 및 전통 차문화의 원형을 이야기한《녹차, 다산에게 묻다》(최성민,김은정 지음). 사진 책과 나무

바로 《녹차, 다산에게 묻다》(최성민‧김은정 지음, 책과 나무)와 《차의 귀향, 그후 20년》(최성민 지음, 책과 나무)이다.

《녹차, 다산에게 묻다》는 두 책의 저자인 최성민 소장(사단법인 남도정통제다‧다도보존연구소)이 진행한 문화재청 전승공동체활성화지원사업의 연구보고서격이다.

최성민 소장은 책에서 “커피 식민주의와 보이차 사대주의 홍수 속에 허덕이는 한국 전통 녹차와 전통 차문화를 살려내야 한다”며 “우리의 전통 차문화는 기호식품으로서의 차가 아니라 심신건강과 수양을 위한 수양다도이다. 그런데도 기호식품 반열로 추락시킨 결과 오늘날 전통차와 전통차문화가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고 강력히 주장한다.

그는 근래 한국 전통차 녹차와 전통차문화의 급격한 쇠락 원인을 한국 차학계와 차계에서 ‘초의제다’와 ‘초의차’를 한국 전통제다와 전통차로 내세우면서 벌어지는 무지와 알면서도 주장하는 모종의 음모(?)에 있다고 했다.

최 소장은 “초의제다법으로 알려진 덖음제다(炒焙法 초배법)는 섭씨 300~400도에서 찻잎을 덖으므로써 섭씨 157도를 비등점으로 하는 녹향이 순식간에 증발된다”고 설명하고 “지나치게 높은 온도에서 녹향을 날려버린 탓에 고소한 맛이라도 내기 위해 증배제다 용어인 ‘구증구포’라는 말을 차용해 뜨거운 솥에 여러 번 찻잎을 넣어 ‘볶는 과정’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찻잎을 불고문 내지 몸살시킨다”고 했다.

또한, “차 본래 성품인 자연성을 무너뜨리는 제다를 한 결과 ‘초의차가 한국 전통차이고 한국 전통차는 고소한 맛이 특성’이라는 말을 꾸며 내게 되었다”며 초의제다법의 원형을 설명했다.

초의제다로 알려진 덖음제다는 명나라 장원의 『다록』에 실린 제다법을 초의선사가 『다신전』 및 『동다송』에 “옛 사람의 말을 빌려”라는 인용구로 소개한 것이다. 최 소장은 “명나라 태조 주원장이 ‘용단승설’ 등 까다로운 공납용 명차 제다의 민폐를 없애기 위해 ‘손쉬운 제다법’으로 권한 것이지, 최선의 차를 짓는 제다법은 아니다”라고 했다.

그렇다면 진정한 한국전통제다와 전통차는 무엇일까? 최 소장은 다산의 구증구포 단차와 삼증삼쇄 연고녹차 제다라고 한다.

그는 “찻잎을 쪄서 말리는 다산의 증배蒸焙제다는 녹차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다신(茶神, 차의 혼)’으로서 ‘녹향綠香’과 차 본래의 자연성인 기색氣色, 기미氣味를 가장 적절히 보전시키는 제다법”이라며 “다산의 구증구포 및 삼증삼쇄 증배 제다는 중국이나 일본의 제다사에는 없는 독창적이고 뛰어난 증배제다법이면서도 손쉬운 방법”이라고 역설했다.

사단법인 남도정통제다‧다도보존연구소 최성민 소장이 출간한《차의 귀향, 그후 20년》. 사진 책과 나무.
사단법인 남도정통제다‧다도보존연구소 최성민 소장이 출간한《차의 귀향, 그후 20년》. 사진 책과 나무.

한편, 《차의 귀향, 그후 20년》는 저자 최성민 소장이 곡성의 야산에 20년 넘게 순수 야생차밭인 산절로 야생다원을 일구면서 겪은 실화를 담은 책이다.

그가 이미 재배화된 차나무를 야생으로 귀환시키는 과정 속에서 사람들에게 받치고 당한 웃픈 사연들과 차나무가 속삭이는 자연성의 귀중함, 다도의 수양론적인 참 의미를 들려준다.

책의 부제는 ‘힐링 디톡스 시대 초보 차인들을 위해, 귀농 귀촌 대체농을 꿈꾸는 이들을 위해’인 만큼 그는 초보 차인들의 차생활 입문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정보를 담았다. 좋은 차 구별법, 다기 고르기, 녹차가 좋은 이유, 수양다도의 원리 등 차생활 길라잡이 내용을 각 장 사이사이에 촘촘히 별책부록처럼 넣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