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부총리 겸 장관 유은혜)는 한국연구재단과 함께 인문사회 학술생태계의 연구 거점으로 인문사회연구소를 집중 육성하고자 ‘2019년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으로 74개 연구소를 선정했다.

이들 연구소당 최대 6년(3년+3년)간 연 평균 2억 원, 총 12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한다. 지난해 선정된 110개에서 171개(계속 97개, 신규 74개)로 대폭 확대되어 총 502억 원을 지원한다.

교육부 인문사회분야 연구소 지원 사업 개편. [사진=교육부]
교육부 인문사회분야 연구소 지원 사업 개편. [사진=교육부]

선정된 인문사회연구소들은 각 연구 과제를 수행해 순수 학문연구 진흥에 기여하고 국가‧사회적 이슈에 대한 중장기적 대안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선정된 74개 연구소를 유형별로 나누면 ▲전략적 지역연구형 ▲순수학문연구형 ▲문제해결형 ▲교육연계형 등이다.

전략적 지역연구형은 신북방, 신남방정책 등 국가전략적 차원의 지역학 연구 및 지역전문가 육성을 목적으로 한다. 대표 사례는 경희대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가 기존 유물 비교연구에서 벗어나 소와 말 등의 DNA 분석 등 학제 간 연구로 고대 한국-유라시아 네트워크, 새로운 실크로드의 정립과제를 수행한다.

순수학문연구형은 인문사회 기초학문 분야와 해외학술서 번역, 데이터베이스화를 목적으로하며, 대표적인 사례로 고려대 한자한문연구소는 조선시대 과거시험 문제, 수험 결과물, 수험 참고서에 대한 자료를 전산 구축하고 문헌 연구를 계획한다.

문제해결형은 국가와 사회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인문사회적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소를 육성하고자 지원한다. 건국대 이주‧사회통합 연구소는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인으로 성장하는 이주 2세의 보육, 교육, 직업 및 평생교육 관련 법제 연구를 수행한다.

교육연계형은 올해 신설되었으며, 대학이 자율적으로 대학교육을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초중등교육 관련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등을 목적으로 한다. 사례로는 중앙대 다문화콘텐츠연구원이 문화다양성을 기반으로 한 다빈치형 인재 양성 체계 구축 및 신규 교과목의 교육과정 검토 및 재정비를 연구한다.

선정된 인문사회연구소의 경우 연구소당 2명 이상 총 150여 명의 박사급 연구인력이 채용되어, 박사급 학문후속세대들이 전임 연구 일자리를 찾기 전까지 안정된 연구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 역할도 담당한다.

교육부 이승복 대학학술정책관은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인문사회 연구자들의 안정적인 연구거점을 확대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교육부는 다양한 인문사회연구소들이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