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018년 말 기준 등록장애인은 258만 6000명으로 이 가운데 70대, 60대 등록장애인 수가 가장 많았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이같은 내용으로 ‘2018년도 등록장애인 현황’을 17일 발표하였다. 2018년 말 기준 등록장애인은 258만 6000명(전체 인구 대비 5.0%)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70대(57만 3000명, 22.2%), 60대(57만 1000명, 22.1%)에서 등록장애인 수가 가장 많으며 9세 이하(2만 9000명, 1.1%), 10대(6만 1000명, 2.3%)에서 가장 적다. 남성 등록장애인의 비율(150만 명, 57.9%)이 여성(109만 명, 42.1%)보다 높다.

연도별 등록장애인 수 및 전체 인구 대비 비율. [자료=보건복지부]
연도별 등록장애인 수 및 전체 인구 대비 비율. [자료=보건복지부]

등록장애인 수 및 전체 인구 대비 비율은 등록장애인에 대한 서비스의 확대, 등록제도에 대한 인식 개선으로 2003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2010년부터는 전체 인구 대비 5% 정도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65세 이상 노년층 장애인 수가 지속 증가(2011년 38.0%→2014년 41.4%→2016년 43.4%)하여 장애인구의 고령화가 상당한 수준으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노년층 장애인 중 가장 많은 장애유형은 지체(49.7%), 청각(20.9%), 뇌병변(11.6%), 시각(10.5%), 신장(2.7%)순으로 나타났다.

15개 장애유형 분석 결과, 지체장애(123만 9000명, 47.9%), 청각(34만 2000명, 13.2%), 뇌병변·시각(각 25만 3000명, 9.8%) 순으로 비율이 높았으며, 가장 낮은 유형은 뇌전증(7,000명, 0.3%), 심장(5,000명, 0.2%), 안면장애(3,000명, 0.1%) 순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등급별 장애인 수. (단위 : 천 명)  [자료=보건복지부]
연도별 등급별 장애인 수. (단위 : 천 명) [자료=보건복지부]

지역별로는 경기도 등록장애인 수가 54만 7000명(21.2%)으로 가장 많았으며, 세종이 1만 1000명(0.4%)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장애유형별 증감현황을 보면 지체장애(2009년 53.2%→2015년 51.5%→2018년 47.9%)는 2010년 이후 감소추세인 반면, 발달장애(2009년 6.9%→2015년 8.2%→2018년 9.0%), 신장장애(2009년 2.2%→2015년 3.0%→2018년 3.4%)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등급별로는 1∼3급 등록장애인은 99만 명(38.0%), 4∼6급 등록장애인은 160만 명(62.0%)이다. 등급별 1∼3급 장애인에 비하여 4∼6급 장애인의 비율이 2003년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권병기 장애인정책과장은 “매년 등록장애인의 추이 분석을 통해 장애인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복지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