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극박물관(관장 심하용)은 우리의 탈 26종 200점을 정리해 민속과 예술 연구지 《서낭당》 8집으로 《우리나라 탈》을 발간했다.

한국민속극박물관 심하용 관장은 할아버지인 탈 제작자 심이석(1912-2002), 아버지인 민속학자 심우성(1934-2018)이 평생 만들고, 수집한 탈들을 사진작가 박옥수의 사진과 함께 책으로 엮었다.

한국민속극박물관은 우리의 탈 26종 200점을 정리해 민속과 예술 연구지 "서낭당" 8집으로 "우리나라 탈"을 발간했다. [사진=한국민속극박물관]
한국민속극박물관은 우리의 탈 26종 200점을 정리해 민속과 예술 연구지 "서낭당" 8집으로 "우리나라 탈"을 발간했다. [사진=한국민속극박물관]

 

한국민속극박물관이 펴낸 《우리나라 탈》은 1996년 개관 이래 한국민속극박물관이 소장했던 우리 탈 26종에 관한 내용을 한 권으로 엮었다. 26종은 하회별신굿, 병산 탈, 본산대 탈, 고성 탈, 나무 방상씨 탈, 백제기악탈, 열두 띠 탈, 키 탈, 짚 방상씨 탈, 양주 별산대놀이, 남사당 덧뵈기, 통영 오광대, 고성 오광대, 강릉 관노 탈놀이, 북청 사자놀이, 봉산 탈춤, 동래 야류, 강령 탈춤, 처용 탈, 수영 야류, 송파 산대놀이, 은율 탈춤, 가산 오광대, 발탈, 진주 오광대, 김해 가락 오광대이다.

《우리나라 탈》에는 나무 탈 작가였던 심이석의 ‘나무로 깎은 얼굴, 그 다양한 표정의 유산들’이란 탈 제작자 관점에서 바라본 탈의 도상 해설과 함께, 그가 복원한 우리나라 나무 탈 33점·백제기악탈 15점의 사진이 실렸다. 또 민속학자 심우성이 전국 방방곡곡을 답사하며 수집한 국가 무형 문화재로 지정된 탈놀이와 탈들 사진과 함께 ‘탈은 왜 생겨났을까?’라는 물음에 대한 그의 글이 실렸다.

탈은 얼굴을 가리거나 변장하기 위하여 나무, 종이, 흙 등으로 만든 동물 또는 사람 얼굴 모양의 형상을 말한다.

현재까지 발견된 유물로서는 6세기경 신라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하는 옻칠 탈이 있다. 이 탈은 1946년 경주(慶州) 노서리(路西里) 호우총(壺塚) 고분에서 출토되었으며, 지금까지 발굴된 한국 유일·최고(最古)의 유물로 전하는 탈이다.

한국의 탈은 2가지로 나눌 수가 있다. 하나는 신앙가면(信仰假面)이고, 다른 하나는 예능가면(藝能假面)이다. 신앙가면이란 가면을 어떤 일정한 장소에 안치(安置)해 두고 그 가면에 고사(告祀)를 지내거나, 또는 가면을 얼굴에 쓰고 악귀(惡鬼)를 몰아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예능가면이란 가면을 얼굴에 쓰고 무용할 때나 연극할 때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이 예능가면도 신앙적인 일면을 얼마간 지니고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한국가면 (두산백과))

한국의 문헌상으로 나타나는 최고(最古)의 탈춤, 가면 놀음은 《삼국사기(三國史記)》 <악지(樂志)>에 전하는 최치원(崔致遠)의 《향악잡영시(鄕樂雜詠詩)》 5수(首) 중 <월전(月顚)> <대면(大面)> <속독(束毒)> <산예(猊)>의 4가지이다.

현대 한국인에게 탈은 본디 기능을 잃어 골동품이 된 측면이 있다. 하지만 탈은 전통 연극, 전통 무용 그리고 전래 의식 속에 전해져오고 있어 국가 무형 문화재로 지정·전승되고 있다.

심 관장은 “박물관의 내부 사정으로 대다수의 탈은 유실된 상태라 1970~80년대 실제 탈놀이에 쓰였던 이 탈들이 우리나라 탈의 흔적을 되찾는 데 참고서로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우리는 역사의 소산인 전통 탈에서 보게 되는 벌거벗은 자화상을 통해 한국문화의 뿌리를 찾고, 우리의 탈 유산과 주변 문화권의 탈 유산을 견줄 수 있다”며 “우리 문화권의 발자취를 살피며, 우리 문화의 독창성을 찾는 참고서”라고 자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