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역사의식이 큰 논란이 되고 있다. 그가 쓴 칼럼 등을 통해 보면 매우 친일 사관에 젖어 있다. 일본 극우파의 논리와 별반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래서 일본 극우파들은 쌍수를 들어 문창극 후보자를 환영했는지도 모른다. 친일 극우적인 사관을 지닌 인물이 국무총리 후보자라니 참담할 뿐이다.
이렇게 논란이 된 인사는 인사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수의 추천을 받아 철저한 검증을 거친 후에 지명했더라면 이런 일이 없었을 것이다. 이미 총리 후보자가 낙마한 후에 벌어진 일이라 더욱 아쉽다. 대통령의 ‘수첩 인사’의 위험성을 취임 초기부터 우려했던 것은 이 같은 일이 예상됐기 때문이다. 이번에 이 문제를 직시하여 차제에 제대로 된 시스템이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

또 하나 이번 국무총리 지명은 국내 문제이기는 하나 외교 문제로까지 번지고 있다. 먼저 일본에 위안부 문제를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고려해야 한다. ‘위안부 관련 배상은 끝났다’는 주장을 한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칼럼이나 강연은 한국의 외교적 입지를 취약하게 만들고 있다. 일본이 문 후보자의 발언을 인용하여 대응한다면 한국 정부는 어떻게 할 것인가. 문 후보자가 사과와 함께 역사관에 문제가 없다는 점을 직접 해명한 만큼 외교상에 정말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인지 면밀히 검토할 일이다.
다음으로 중국에는 어떻게 할 것인지도 문제다. 중국은 친일 극우 사상을 가진 문 후보자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우려의 눈길로 지켜보고 있다. 중국의 우려를 어떻게 씻을 것인지 문제다. 위안부 문제 등에 한중이 함께 공조해온 기조가 문 후보자로 인해 틈새가 벌어지는 것은 아닌지 점검해야 한다.

다음으로 학생들에 문창극 후보자의 지명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왜곡된 식민사관을 가진 사람을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하고도 그런 사관이 나쁘다고 가르칠 수 있는가. 또 그렇게 교육을 한다한들 학생들이 제대로 받아들일지도 문제다.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로 인한 문제를 슬기롭게 풀어나가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