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훼손된 채로 땅속에 묻혀 있던 남산의 한양도성 일부를 100여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

서울시는 지난 6월부터 5개월 동안 총 구간 300여 미터 중 약 100미터 구간의 발굴을 완료한 결과, 성곽축조 초기인 태조시대에 처음 쌓아 세종, 숙종 이후까지도 계속 보수한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옛 성곽 94.1미터를 찾아냈다고 22일 밝혔다.

전문가들은 실사조사와 시대별 축조양식을 바탕으로 이 성곽이 지어진 시기를 밝혀냈다.

시는 지난 2009년부터 한양도성 남산 회현자락 구간 정비사업을 3단계에 걸쳐 추진해 왔다.

1단계 힐튼호텔 앞 아동광장 일대 성곽 84m(2009년)와 2단계 백범광장 일대 성곽 245m(2012년) 복원사업을 완료했다. 이어 지난 6월부터 5개월 동안 3단계 정비사업 전체 구간인 남산 중앙광장 일대 300m 중 100m에 대한 발굴사업을 마쳤다.

중앙광장 일대 성곽은 <지적원도(1912)>등에 기록으로만 존재했을 뿐, 그간 온전히 잊혀져 있다가 100여 년 만에 처음으로 그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특히 이번 발굴 구간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한양공원(1910년)을 조성하고, 조선신궁(1925년)을 짓기 위해 지형을 크게 변형시키며 한양도성이 훼손된 지역이다.

광복 이후에는 이승만 전 대통령 동상 건립(1956년), 남산식물원 개장(1968년) 등 개발사업이 이어졌다.

시 관계자는 "(개발사업으로) 한양도성의 흔적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100여 년 만에 비교적 양호한 상태의 모습을 드러냈다"라고 밝혔다.

발굴 조사 결과, 시는 지하 2.3∼3m 지점에서 유구를 확인했다. 성곽 바닥 부분 1∼2단을 이루는 기저부와 성곽의 몸통을 이루는 체성부(體城部)는 구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략 지표면 아래 3m 깊이에 있었다.

성벽은 4∼5단부터 6∼7단까지 그대로 남아 있었고, 상태도 양호한 편이었다. 조선시대에 성벽을 지키거나 성벽 축조를 관리하던 관청 이름이 적힌 기와 조각을 비롯해 바닥돌, 분청사기 조각 등 조선 초기부터 20세기까지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

시 관계자는 “이곳은 침략으로 인한 인류문화 훼손과정을 고스란히 간직한 역사적인 장소로 시에서 추진 중인 한양도성의 유네스코(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굴 성과는 한양도성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와 남산 회현자락 정비사업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