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8월15일 한가위는 설과 함께 우리나라 최대 명절이다. 정월부터 시작하여 매달 즐기는 날이 있는데 8월 추석은 그 중에서도 최대 명절로 맞이한다. 추석에 대한 첫 기록은 고려시대 김부식이 쓴 『 삼국사기』 유리이사금(儒理尼師今) 9년(서기 32년)조에 나온다.

유리왕이 6부를 정하고 이를 둘로 나누어 왕녀 두 사람으로 하여금 각기 부내(部內)의 여자를 거느리고 무리를 나누게 했다. 가을 7월 16일부터 매일 일찍 큰 부(部)의 뜰에 모여 마포(麻布)를 짜고 밤 10시에 파했다. 8월 15일에 이르러 그 공의 많고 적음을 가려 진 편에서는 술과 음식을 내어 이긴 편에 사례했다. 이에 노래하고 춤추며 온갖 놀이를 즐겼으니 이를 가배(嘉俳)  라 불렀다. 이때 진 편의 한 여자가 일어나 춤추고 읊조려  "회소(會蘇) 회소"라 하니 그 소리가 애처롭고도 우아했다. 후세 사람들이 그 소리로 노래를 만들어 회소곡(會蘇曲)이라 이름했다. (王旣定六部中分為二使王女二人各率部内女子分朋造黨自秋七月旣望每日早集大部之績麻乙夜而罷至八月十五日考其功之多小負者置酒食以謝勝者於是歌舞百戱  皆作謂之嘉俳是時負家一女子起舞嘆曰 l會蘇 會蘇其音哀雅後人因其聲而作歌名 會蘇曲)

가배(嘉俳)에서 가위라는 말이 나왔다. 가배는 가운데라는 뜻이다.  고려시대에 나온 노래인 《동동》에도 이 날을 가배라 적었음을 보아 이 명칭은 지속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조선시대 이규경(李圭景)은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서 추석 유래를 신라 유리왕 때의 가배(嘉排)에서 유래한 것으로 설명하고 성묘하는 풍속은 가락국에서 나왔다고 했다.  
 

 "신라 유리왕(儒理王) 19년(42)에 가락국(駕洛國)의 수로왕(首露王)이 즉위하였고 수로왕에서 10대 구형황(仇衡王)까지가 모두 4백 91년이 되는데, 신라 법흥왕(法興王) 19년(532)에 구형왕이 신라에 항복하였다. 가락국에서는 시조 수로왕의 사당을 처음으로 수릉(首陵) 옆에 건립하고 정월에는 3일ㆍ7일에, 5월에는 5일에, 8월에는 15일에 제사를 드렸고, 구형왕이 왕위를 상실한 뒤에는 그 신하였던 영규(英規)가 사당을 빼앗아 음사(淫祀 자격이 없는 자가 드리는 제사)를 계속해 왔는데, 어느 해 단오절에 사당에서 강신례(降神禮)를 진행하다가 대들보에 깔려 죽었고, 그 뒤에는 규림(圭林)이 계승하다가 나이 88에 죽자, 그 아들 간원(間元)이 계승하여 단오절에 드리는 사당 제사를 착실히 받들었다." 하였다.

 따라서 단오절과 8월 15일에 산소를 찾던 풍속은 가락국에서 시작된 것인데, 그 중에도 단오절을 더 중하게 여겼던 것이다. 수릉은 곧 수로왕의 묘(墓)이므로 묘 옆에 사당을 건립하고 제사를 드릴 적에는 묘제(墓祭)와 묘제(廟祭)의 구별이 없게 되었다가 고려 시대에는 가묘(家廟)를 건립, 가묘와 묘(墓)에서 아울러 제사를 드리도록 제정하였다. 지금 풍속에는 경향(京鄕)과 반상(班常)을 막론하고 상원절을 가장 중하게 여겨 대보름이라 하고 추석절을 한가위[漢嘉會]라 하여, 술ㆍ고기와 기타 음식을 많이 장만하여 서로 주고받는다. 그리고 추석절에 산소를 찾는 행사는 한식절(寒食節)에도 마찬가지이다.

 가윗날이 신라 이래 나라의 풍습으로 지속되었다. 중국 측 기록인 『수서』(隋書) <동이전> 신라 조에 임금이 이 날 음악을 베풀고 신하들로 하여금 활을 쏘게 하여 상으로 말과 천을 내렸다고 하였다. 『구당서』(舊唐書)<동이전>에도 신라국에서는 8월 15일을 중히 여겨 음악을 베풀고 잔치를 열었으며 신하들이 활쏘기 대회를 하였다고 나온다. 

신라인들은 이 풍속을 외국에 나가서도 즐겼다. 서기 838~847년 당(唐)에 유학하여 신라 절에 머물던 일본 승려 엔닌(圓仁)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 그 기록이 나온다. 

"절에서 밀가루로 떡을 만들고 떡 등을 마련하여 8월 보름 명절을 지냈다. 이 명절은 다른 나라에는 없고 오직 신라에만 있다."라고 하였다.

한가위 풍속을 보면 왕실에서 길쌈과 활쏘기를 장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길쌈은 힘들지만 의류에 없어서는 안될 재료이고 활쏘기는 국방에 매우 긴요하다. 왕실이 나서서 왕녀가 6부 여인들을 이끌고 길쌈대회를 하는 동안 남자들은 활쏘기를 연마하여 추석에 대회를 연다. 서로 이기기 위해 모든 힘을 쏟았을 게 분명하다. 그렇게 하는 사이 경제력과 군사력이 길러진 것이다.  2000년 전 시작된 명절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한가위라는 추석명절은 신라에서 시작되었는데 나중에 중국에서 이를 명절로 쇠고 일본에서 명절이 되었다.

중국에서는 이날을 중추절(仲秋節)이라 한다. 『예기』(禮記) 월령(月令)에서 가을을 맹추(孟秋)ㆍ중추(仲秋)ㆍ계추(季秋)로 나누고 8월을 중추지월(仲秋之月)이라 한데서 나온 것이라 하는데 분명하지 않다. 중추절에 달구경을 하는 풍속은 한참 뒤 당나라 때 생겨났다.

당(唐) 현종(玄宗) 때 기록인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에는 "중추 저녁에 현종이 양귀비와 장안(長安)의 건장궁(建章宮) 태액지(太液池)에서 달맞이를 했는데 이를 관민들이 모방하면서 중추절에 달을 감상하는 습속이 생겼다."는 기록이 있다. 중추절이 성대하게 된 것은 북송(北宋) 이후로 보이는데 『동경몽화록』(東京夢華錄) 권8에는 "민간에서는 다투어 주루에 올라 달구경을 하였는데 새벽까지 피리를 불며 놀았다."고 기록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