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만리장성 길이의 확대와 문화유적에 대한 한중 간의 갈등은 동북공정의 연장 선산에서 논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무형문화재에 대한 갈등과 논란은 계속될 것이며 그 원인으로 ‘중국의 변강정책’을 꼽았다.

동북아역사재단은 한국고대사학회와 공동으로 오는 20일~21일, 대구 팔공산 온천관광호텔에서 '동북공정 이후 중국의 변강정책과 한국고대사 연구동향'를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최한다.(본보 7월 17일자 기사 바로가기 클릭)

이천석 영남대학교 교수는 미리 공개한 발표문 ‘중국 변강정책의 변화와 동북지역’에서 “중국 정부는 다민족 통일국가론을 내세워 국가의 통합과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워 변강지역에 안정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변강에는 주변국가와 맞닿아 있어 언제든 분쟁지역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이다.”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중국이 변강정책은 ‘소수민족’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세우는 것이었다.”라며 “소수민족을 한족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역사공정이 필요하였다.”라고 말했다.

역사공정은 소수민족의 역사와 민족을 중국의 역사와 중화민족으로 묶는 것이다. 현재의 중국의 범위 안에 있는 소수민족의 역사와 민족을 중국사 또는 중화민족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과거의 소수민족의 역사와 민족은 융화를 거쳐서 결국은 ‘통일된 다민족국가’를 가져왔다는 논리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청사공정, 문화공정을 연결된다.

중국이 추진하는 동북지역 변강정책은 크게 4가지로 나눈다.

 
먼저 동북지역의 변강 역사 문제와 사회현상 문제는 ‘동북공정’에서 다루게 한다. 이어 동북지역 소수민족의 낙후된 경제성장과 발전 전략계획으로 ‘동북진흥전략’으로 한다. 세 번째로 동북지역 여진족 청(淸)의 역사를 중국사로 편찬하면서 장백산(백두산)일대 고구려 발해의 역사가 청의 역사로 연결로 파악하는 청사공정이 있다.

마지막으로 ‘문화공정’은 동북지역 고구려, 발해 유적을 전시하고 유적지 관광개발을 통해 고구려 발해는 중국의 지방정부이라는 도식을 대내외 선전하고 홍보하는 데 있다.

특히 중국은 조선족의 전통문화를 한국의 문화로 인정하지 않고 자국의 문화로 인식해 문화적 갈등으로 빚고 있다는 점이다.

이 교수는 “궁극적으로 중국은 이러한 역사문화를 정비하여 역사관광 자원을 활용해서 경제적 이익을 얻는 동시에 세계인들에게 역사문화를 중국문화로 인식케 하려는 전략이며, 궁극적으로 전통문화의 선점과 홍보를 통해서 중국 조선족과 한반도의 연관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정치 전략이기도 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