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대표적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₂)를 대규모로 저장할 수 있는 해양퇴적층이 최초로 발견됐다.

국토해양부는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51억여t가량 영구저장할 수 있는 해저지중 저장소에 적합한 지층이 국내최초로 동해 울릉분지 남서부 주변 해역에서 확인됐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CO₂저장 후보지는 울산에서 동쪽으로 60~90㎞떨어진 대륙붕 인근이며 퇴적층 깊이는 800~3천m다. 국토부는 올해 안에 3차원 탄성탐사를 통해 상세 지질구조를 파악하고 2014년 시험시추를, 2015년에는 저장 대상지를 최종확정해 고시할 계획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울릉분지에서 확인된 지층의 가스 저장 용량은 CO₂를 150년 이상 저장할 수 있는 규모다. 이번 발견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연구개발사업의 결과로 정부는 지난 2010년 '국가 CCS 종합추진계획'을 세운 바 있다.

CCS는 화력발전소나 제철소 등에서 대량 배출되는 CO₂를 포집해 해양 퇴적층에 영구저장시키는 기술로 에너지 효율 향상과 신재생 에너지 사용과 함께 대표적인 온실가스 감축 기술로 꼽히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 전세계 CO₂감축량의 19%가 CCS방식으로 처리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은 CCS 보급을 위한 대규모 실증사업을 벌이고 있다. 노르웨이는 세계 최초로 100만t 규모의 해저 저장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2016년, EU는 2020년까지 CCS기술 상용화를 목표로 실증사업을 벌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5년까지 저장소 1~2개를 선정하고 100만t급 CCS 실증 사업을 완료해 가스 포집·수송·저장을 망라한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2030년에는 CCS방식으로 CO₂3천200만t을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번 CO₂저장소 후보지를 확보함에 따라 국내 CCS 실증 기술연구가 탄력을 받게 됐다. 대규모 CO₂저장소를 만들 수 있는 지층은 갖추고 있어야 할 조건이 까다롭다.

가스주입이 용이한 일정수준 이상의 압력과 퇴적물 입자간 틈새 비율이 확보돼 있어야 하고 주입된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진흙 퇴적층이 상부에 존재해야 한다. CO₂는 암석부피의 10~30%를 차지하는 퇴적물 입자 사이 틈새에 저장되며 이 퇴적층 사이에 있는 물에 녹는다. 최종적으로는 물속에 녹아있는 칼슘과 반응해 광물화된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해저 저장소 선정 외에도 가스 수송체계와 해양 관리체계 구축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 중"이라며 "CCS 시장 선점을 위한 국가간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도록 연구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