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5일(음력 3월15일)열린 어천절 보름천제 (국학원).

검은 밤하늘에 둥근 보름달이 돋보였던 5일 밤 9시, 국학원(천안시 목천읍 소재)은 4층 대강당에서 고대 전통방식의 ‘어천절(御天節) 보름천제’를 열었다.

제1대 국조 단군왕검께서 돌아가신 날인 경자년 음력 3월 15일, 어천절을 기념한 천제의 주관자는 장영주 국학원장(대행), 좌봉수와 우봉수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대학교 김용호 사무처장과 한승용 국학원 교육이사가 맡았다.

정성스럽게 향을 올리는 모습


쑥과 향을 피워 천제단 주변을 정화하는 ‘번시례’를 시작으로 천제의 시작을 알리는 주제자의 ‘시천(始天) 선언’ 그리고 하늘에 천제의 의의를 고하는 고천문(告天文) 낭독, 자신의 몸을 태워 주변을 밝히는 의미로 촛불을 켜는 점촉, 정성스럽게 향을 올리는 분향, 포도주를 세 번 따라 올리는 헌작 등 한민족 고유의 천제 방식에 따라 진행되었다.

이번 천제는 우리 고유의 천손문화복원과 더불어 한민족의 남다른 생사관인 ‘천화(イ天 化)’의 의미를 알리고 생활 속에서 홍익정신의 실천을 다짐하는 자리가 되었다.

우리 고유의 선도에서 ‘죽음’은 불교의 사후세계, 서양의 심판과는 다르게 보았다. <뇌철학>(이승헌 저)에서 보면 “우리 문화에서 죽음은 왔던 곳으로 되돌아가는 것”이라고 하여 ‘천화’라는 선도적 죽음의 개념을 설명했다. 천화는 태어나 홍익인간으로서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여 인간완성을 한 후에는 죽어서 하늘이 되는 것으로 여기서 하늘은 만물의 근본자리를 뜻한다.

누구나 호흡과 명상을 통해 수행하여 지혜롭던 옛 어르신들이 육체적 생명이 다하는 시기를 예측하여 미리 후손을 모아 가르침을 주고 깊은 산으로 들어갔다. 후손과 주변사람들은 애도하기보다 천화를 축하하며 배웅했다. 이것이 잘못 알려진 고려장(高麗葬) 풍습의 진정한 의미라고 전한다.

어르신들은 산 속에서 음식을 끊고 깊은 선도명상을 하여 정화한 후 완성된 혼은 하늘로 가고 몸은 땅에 남겨 호랑이 등에게 내어주고 갔다. 이때 완성된 혼을 근본의 자리로 인도하는 것이 ‘새’ 특히 현명한 까마귀라고 한다. 이 전통으로 남은 유산이 마을마다 나무로 새를 새겨 높이 올린 ‘솟대’라고 한다.

이날 천제 참석자들은 어천절의 뜻을 새겨 춤과 노래를 즐기고 천제음식을 나누며 축제의 시간을 가졌다.

천제주관자인 장영주 국학원장(대행)이 고천문을 낭독하는 모습.

천제 주관자인 장영주 국학원장(대행)은 고천문에서 “국조 단군왕검께서 우리에게 홍익의 유전자를 남겨 주셨다. ‘홍익인간 이화세계’의 뜻을 이어 ‘한민족의 새로운 탄생과 지구경영’을 실현하여 우리나라가 인류를 널리 이롭게 하는 정신문명시대의 지도국이 되도록 하자.”는 다짐을 밝혔다.

또한 장 원장은 “단군왕검은 상원갑자년 음력 5월 2일 인시에 태어나고 경자년 음력 3월 15일에 돌아가신 날이 엄연히 있고 수천 년 전통적으로 기리던 역사적 인물이다. 일본 강점기 식민사관으로 ‘단군신화’란 말이 만들어지고 허구라는 개념이 생겼다. 우리나라 교육이념이 ‘홍익’이라고 하면서도 단군 왕검 한분이 2천여 년을 다스렸다며 신화적 인물로 여기는 인식이 아직도 남아있다. 우리가 더욱 널리 우리의 코리안 스피릿, 홍익정신을 알리는데 노력하고 실천하자.”고 강조했다.

국학원은 매월 우리 고유의 천손문화복원을 위한 천제를 개최한다.  

천제를 개최하기 전 향과 쑥을 피워 주변을 정화하는 번시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