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열수 가회민화박물관장

민중들의 삶이 배인 대중적인 그림, 민화와 부적은 과거 우리 삶의 일부분이라 할 정도로 불과 100여 년 전만 해도 매년 정초에 해태와 개 닭 호랑이를 그려 붙였다. 화재를 막기 위해 부엌문에는 해태를, 개는 광문에 걸어 도둑을 지키고 어둠을 밝히고 잡귀를 쫓는 닭은 중문, 악귀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호랑이와 신령한 복을 기원하는 용은 대문에 걸었다.

상고시대의 고구려는 물론 고려, 조선을 이어 근대까지도 호랑이를 그린 민화가 상당하듯 고금을 막론하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수호신은 단연 호랑이다. 고구려고분벽화 사신도 중에 백호도의 흰 호랑이는 용처럼 하늘을 나는 비호(飛虎)로 묘사됐다. 선조는 상상의 동물신인 주작과 현무, 용신처럼 사악한 기운을 막고 잡귀를 쫓는 신령스러움을 지닌 영물을 현실에서 흰 호랑이로 본 것이다.

▲ 고구려 벽화-우현리 중묘현실 서벽 백호도

흰 호랑이를 신령하게 여긴 믿음은 시대를 이어오며 1821년까지도 갈기가 달리거나 날개를 그린 민화를 그렸다. 이런 호랑이는 가죽 발톱 수염 살 뼈 등 머리에서 발끝까지 버릴 것이 하나도 없을 정도로 호랑이에 대한 선호는 민화뿐만이 아니라 호피로 병풍 방석 깔개 등 실생활도구와 약재, 의료도구로까지 발전되었다. 실제로 부스럼이 났을 때 호랑이 수염으로 찔러 고름을 빼면 절대 탈이 나는 법이 없고 관절에는 뼈를 그리고 털을 태워 마시면 학질이 도망가며 술을 끊는 데는 호랑이 변이 약이라 한다.

호피도를 그린 가마씌우개로 현모양처를 맞으려 했고 호랑이 발톱을 다듬어 만든 노리개 금난장을 차서 남편의 바람을 잡을 수 있다고 믿었으며 당상관 부관들은 호랑이 수염으로 만든 머리꽂이로 재난방지를 염원했다. 이렇듯 민간에선 호랑이의 모든 것이 철저하게 자신을 지켜준다고 강하게 믿었다.

시대에 따라 호랑이의 표현이 각기 다르지만 드러나는 민중의 마음은 한결같이 용맹하거나 신령스럽고 다정다감하게 웃는 모습이다. 사람과 함께 노닐고 새(鳥)나 토끼 등 작은 짐승들과도 대화하는 듯한 호랑이의 얼굴, 바보스러울 만큼 순한 부드러움과 귀여움이 담긴 미소, 무서움이라곤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친근한 호랑이, 오히려 혀가 뒤집어질 정도로 웃는 민화의 근원은 입이 귀밑까지 찢어지도록 웃는, 신라의 귀면화(鬼面畵)와 일맥상통한다.

귀면화는 치우천왕와 관계가 깊고 치우의 핵심은 지켜주고 막아주는 방패로서 수 천 년을 이어 우리 조상의 의식 속에 뿌리 깊게 자리 잡으며, 사악한 기운과 잡귀를 막아주는 민간신앙으로 발전해 왔다.

치우와 관계되는 민화로 불가사리도 독특하다. 벌레가 부러진 바늘을 먹으면서 시작되는 이야기는 고려 때부터 전해진다. 작은 벌레가 쇠를 먹으면 먹을수록 몸집이 불어나 젓가락, 숟가락을 먹어치우고 밥그릇, 무쇠솥도 먹어대며 온 동네를 휘젓고 다니는 괴물이 된다. 이 불가사리를 없애기 위해 큰 대형 가마솥을 끓여 쇳물에 태워서 없애려고 했지만 오히려 불타는 불가사리가 되어 장안이 온통 불이 붙게 되자 한때 숨겨준 스님의 부적으로 다시 애벌레가 된다는 이야기다. 13가지나 되는 다양한 불가사리 이야기는 쇠를 먹고 자라고 화살도 소용없으며 어떠한 것으로도 제어할 수 없다는 점에서 치우와 같은 맥락을 지닌다.

치우의 상징, 귀면와의 귀밑까지 찢어지도록 웃는 모습은 동네 어귀마다 서 있는 장승문화로 이어지고 가면과 탈을 쓴 춤 문화로 이어지며 집집마다 붙이는 그림문화로도 이어졌고 아기들의 돌 때 입는 의류문화로도 이어졌다.

▲ 민화 속 호랑이- 입을 크게 벌리고 웃는 모습
이러한 정서는 호랑이 사자 도깨비 등 온갖 동물들 심지어 풀, 벌레까지도 그 상징성을 되살려 실생활에서 믿음과 예술로 부각되었다. 어둠을 밝히는 닭, 해와 달이 뽕나무밭에서 뜨는 천하도, 잎이 가장 큰 오동나무는 하늘을 덮고 대나무는 속이 비어 있다 해서 상제의 지팡이로, 닭과 닭 볏을 닮은 맨드라미가 벼슬길이 승승장구하는 기원이 되며, 쇠 울리는 워낭소리를 가장 싫어하는 귀신을 쫓기 위해 방울에는 항상 도깨비가 그려졌다. 풀만 먹어 착한 발굽동물도 외뿔을 그려 신선처럼 여겼고 하찮은 미물 벌(蜂)과 천둥번개신 등 그 종류는 헤아릴 수 없지만 모두가 웃는 모습이다.

실제로 사자나 호랑이는 동물세계에서 제왕격으로 사나운 존재지만 우리 문화 속에 민화에는 너무나 천연덕스럽고 곰살궂다. 너무 우스워서 이를 악물고 웃는 듯한 사자나 포복절도가 연상되는 호랑이 등 동물이 웃는 문화는 세계 어느 민족도 지니지 못한 우리 문화, 천성적으로 웃는 문화로서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근본바탕이 삶 속에 어우러져 발현된 지혜의 표현이다.

그 표현법도 다양하다. 포도즙을 먹과 섞어 손가락으로 그린 지두화(指두畵), 대나무를 으깨 그린 죽필(竹筆), 가죽으로 그린 혁필(革筆), 칡뿌리의 갈필(葛筆), 쥐 수염을 뽑아 만든 서수필(鼠鬚筆), 고구마 등을 깎아 찍은 인화(印畵) 등의 민화가 각기 특색을 달리한다.

통도사의 날개 달린 호랑이(7세기 초의 작품)를 비롯하여 계절에 따라 지방관아와 각 집 대문마다 붙여졌던 용호도, 백호도의 다정하고 친숙한 호랑이는 일본강점기를 거치며 사납고 무서운 이미지로 바뀐다.

중국 고서에 ‘조선 사람은 호랑이를 길러 끌고 다닌다.’고 할 정도로 산신령으로 여겼던 비호 대신 1940년대는 일본순사로 둔갑한 산신령과 술 취한 호랑이 민화가 나오는가하면, 사찰벽화 십우도에 말 탄 일본순사가 등장하고 귀신 잡는 감로탱화가 그려지며 우리 고유의 다정한 정서도 공포로 돌변했다.

▲ 민화속 호랑이-무섭기 보다는 익살스럽다
따라서 친근한 호랑이, 익살스럽고 장난꾸러기지만 가난한 사람을 도와주는 도깨비 이미지는 민화 속에만 존재하고 우리 의식 속에는 사람 잡아 먹는 호랑이, 귀신 잡아먹는 도깨비 로 남아 있다. 일본이 우리 정신을 뒤흔들어 왜곡시킨 결과이다.

전통문화의 꽃이라 할 민화와 부적에는 조상의 정신이 고스란히 스며 있지만 오늘을 사는 우리는 그 아름다움과 예술성을 아직 잘 모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물론 중학과정과 초등교 미술 교과서에 민화가 수록되어 있지만 그 가치는 아는 사람은 드물다. 세계인이 그토록 한국문화에 감탄사를 연발하지만 정작 우리는 우리 것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남아 있는 작품이 없어 깊이 연구할 방법도 없다.

아이러니하게 우리 민화가 훌륭하다고 높게 평가한 사람은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1889-1961)이다. 그로 인해 우리 민화가 세계에 알려지고 난 후의 70년부터 우리도 우리 문화에 눈을 뜨는 계기가 되었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일본과 미국의 박물관 곳곳에 우리 민화와 부적 등의 문화재가 수두룩하게 있으니 역사가와 민화가가 함께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로 우리 민화가 가지고 있는 충분한 가치를 사료로서 인정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