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로 함께 즐기고 누리는 풍성한 우리말 잔치, 말모이축제!

10월 9일 ~ 11월 16일 서울 대학로 일대서 개최

2025-09-22     정유철 기자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하여 시작된 ‘말모이축제’가 올해로 7회를 맞는다. 10월 9일 세종대왕의 한글 반포를 기념하며 매년 한글날을 기준 해 열린다.

‘말모이축제’는 130여 명의 전문예술인들과 시민들이 함께하는 국민축제로 발돋음하였다. 크게 전문 문화예술인들 영역과 일반시민 참여 영역으로 구분되어, 공연 부문, 전시 부문으로 나뉘어 동시 개최된다.

제7회 말모이축제&연극제 포스터. 제공 주관사 바람엔터테인먼트

올해 축제는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일대에서 10월9일 한글날 오후 1시3 0분부터 5시 30분까지 개막 및 축하연과 갈무리 공연이 열린다.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 제주도, 전라도, 충청도, 이북의 7개 지역의 예술 단체의 특색을 미리 접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투리대회,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전통 놀이, 우리말 체험 놀이들과 실내 외 전시 등이 열린다.

제주 말부터 이북 말까지 지역별 다양한 우리말을 모아서 함께 듣고, 보고, 소통하고 즐기며 잊혀지는 사투리를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문학, 미술, 사진, 붓글씨, 캘리그라피, 전국 사투리 공연예술제 등 풍성한 우리말 잔치가 펼쳐진다. 특히, 올 2025년은 문학의 ‘시’를 광복 80주년에 맞춰 전문가와 시민참여 영역에서 공모한다.

연극부문의 작품들은 각 지역의 지리적, 언어적 독특함을 담고 다채로운 우리말(방언)의 특색을 살려 예술 작품의 대중적 기여와 교감을 확산한다. 연극 부문 본행사인 개막작은 경기도 부문 10월 15일~19일 극단 늑대의 <나도향 소설전 : 벙어리삼룡이, 물레방아>, 전라도 부문 10월 15일~19일 극단 수평선의 <서울 가는 길>이다.

이어, 강원도 부문 10월 23일 ~26일 극단 백향씨어터 <미스터쉐프>, 경상도 부문 10월 29일 ~11월 2일 공연연구소더하다 <내 고운 벗님>, 충청도 부문 10월 22일~26일 극단 청춘좌 <국희 이야기>, 제주 부문 11월 6일~8일 극단 예술공간오이 <혀>가 각각 공연되며, 이북 부문 11월 12일~16일 공연집단 강철무지개의 <어는 골목 모퉁이의 단단씨>가 폐막작으로 선정되었다.

말모이 축제 이자순 운영위원장은 “말모이축제는 연극인들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의 우리말에 대한 국민의 사랑을 저변으로 시작하여, 2016년부터 소소하게 우리말의 무대언어로서의 계발에 인문예술학적 가치를 두고 시작되었다”라면서 “서울에서 출발하였지만, 전국으로 확대를 꾀하며, 2026년 제8회에는 말모이축제 신춘문예 영역도 확장하여 현지 지역 언어의 특색을 찾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다.”라고 밝혔다

연극제 공연 예매는 놀티켓에서 예매 가능하다. 참가 및 축제 전체 문의는 말모이 축제 운영위원회로 하면 된다. 0505-794-2019, wordsfestival@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