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첫눈에 대설특보 28일까지 많은 눈…안전을 위한 행동요령은?

서울 동북권, 양평, 진안 대설경보, 경기강원 충청, 전북 등 내륙 대설주의보

2024-11-27     강나리 기자
계속 내리는 눈을 뒤집어쓴 시민과 서울 강남 도로. 27일 오후 1시 20분 선정릉역 일대. 사진 강나리 기자.

예년에 비해 6일, 지난해에 비해 9일 늦은 (기상관측소 기준) 첫눈이 폭설로 내렸다.

기상청은 28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눈 또는 비가 내리고 특히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충청권과 전라권, 제주도는 29일 늦은 밤까지도 이어지는 곳이 있다.

27일 10시 기준 중부지방과 남부내륙 일대를 중심으로 대설특보가 발효 중이다. 서울 동북권과 경기도 광주‧양평, 전북 진안에 대설경보가 발효되었는데 수도권 중에는 서울 강북이 적설량 19.1cm, 서울 평균 15cm이며, 양평 용문산 일대가 20.5cm로 가장 많은 눈이 쌓였다.

기상청 특보발효현황(27일 오전 10시), 대설과 강풍, 풍랑 특보가 발효 중이다. 사진 기상청 날씨누리 강무리.

강원도의 평창 대화 22.7cm, 홍천 서석 17.6cm, 원주 치악산 12.9cm, 전북 진안군 동향 19.4cm이며, 눈이 드문 제주도에도 삼각봉 1.7cm, 서귀포 영실 1.6cm 눈이 쌓였다. 또한, 일부 경기 남부, 강원내륙‧산지와 전북 동부에 시간당 3cm내외의 강한 눈이 내리고 있다.

대설주의보가 내린 지역도 많다. 서울 동남권, 인천을 비롯해 광주, 양평을 제외한 경기도, 강원도 태백, 영월, 평창평지, 정선평지, 횡성, 원주, 홍천평지, 강원 중부와 남부 산지, 충남 천안과 아산, 당진, 충청북도 전역, 전남 구례, 전북 무주, 장수, 임실, 순창, 남원, 경북 문경과 예천, 안동, 영양평지, 경북북동산지, 경남 산청, 함양, 거창, 합천, 제주도 산지 등이다.

27일 오전 11시 서울 평균 15cm 눈이 쌓인 가운데 계속 내리는 눈 속 강남 빌딩가. 사진 강나리 기자.

 

대설 특보시 안전을 위한 행동요령

짧은 시간 급격히 쌓인 눈으로 인해 눈사태나 교통혼잡, 시설물 붕괴 등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대설 예보시 안전을 위한 국민행동요령을 알아두어야 한다.

첫째, 눈이 많이 내릴 때는 되도록 외출을 자제하고, 외출할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자동차는 월동장비를 반드시 구비한다. 또한, 외출 시에는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 옷을 여러 겹 겹쳐입고, 장갑, 모자 등을 착용한다. 주머니에 손을 넣지 말고 보온 장갑 등을 착용해 체온을 유지한다.

외출시 바닥면이 넓은 운동화나 등산화를 착용하며, 길을 걸을 때는 그늘진 곳이나 쇠로 된 턱‧맨홀 뚜껑 등에 미끌어져 다칠 위험이 크므로 발밑을 잘 살피는 것이 좋다.

둘째, 눈길 및 빙판길 운전을 피하고 이동이 필요할 때는 비상구호품 및 안전장구(체인, 염화칼슘, 삽 등)를 챙긴다. 커브길과 고갯길 고가도로, 교량, 결빙 구간 등에서 특히 사고 위험이 높아 서행하고, 가시거리가 짧아지므로 안전거리 유지에 특히 유의한다.

차량 이동 중 고립되었을 때는 가능한 수단을 통해 구조 연락을 취하고 야간에는 실내등을 켜거나 색깔있는 옷을 눈 위에 펼쳐 놓아 구조요원이 찾기 쉽게하며, 부득이 차량을 벗어날 경우 연락처와 열쇠를 꽂아 둔 채로 대피한다.

27일 오전 11시 서울 강남구 선정릉역 일대. 사진 강나리 기자.

셋째, 일반가정에서는 내 집 앞, 내 점포 앞 보행로와 지붕 및 옥상에 내린 눈은 가족, 이웃과 함께 치워 사고를 예방하고, 특히 노후 가옥은 쌓인 눈의 무게로 무너지지 않도록 안전점검과 보강을 하고 고립이 우려되는 지역은 경찰서와 관공서와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비가 오거나, 눈이 오는 날 실외에서 전선, 전기제품을 만질 때에는 절연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넷째, 농 어촌이나 공장 등에서는 비닐하우스와 가설 건축물등은 미리 점검하고 지붕에 눈이 쌓이기 전에 치워 두거나 받침대 등으로 미리 보강하여 피해를 예방한다.

농촌에서는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곳은 비닐을 걷어내고, 바닷가 증‧양식장은 어류 등이 동사하지 않도록 보온 조치를 한다. 공장과 시장 비가림 시설, 주거용 비닐하우스, 창고 등 가설 패널을 이용한 구조물의 경우 쌓인 눈의 무게에 취약하므로 폭설예고 시 직원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다.

 27일 오후 1시 20분 서울 강남구 일대. 사진 강나리 기자.

큰 눈이 멈춘 후에는 주변 피해를 확인하고 파손된 시설물(주택, 상하수도, 축대, 도로 등)이 있을 경우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등에 신고하여 보수‧보강 하도록 한다. 파손된 사유시설을 보수 또는 복구할 때는 반드시 사진을 찍어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