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밥상을 풍성하게 할 전어, 대하
해양수산부, 9월의 수산물 ㆍ어촌여행지ㆍ 해양생물ㆍ 등대ㆍ무인도서 선정
해양수산부는 9월 이달의 수산물로 대하, 전어를 선정했다.
가을철에 많이 잡히는 대하는 양식산 흰다리새우와 생김새가 비슷해 혼동하기 쉽지만, 뿔이 코끝보다 길게 나오고 몸통보다 수염이 길며 꼬리가 초록빛을 띠는 특징이 있다.
제철을 맞은 대하는 소금구이, 튀김, 찜, 회 등으로 즐길 수 있으며, 요리 후 남은 머리는 버터구이로 해 먹으니 버릴 것이 없다. 대하는 고단백 저지방 수산물. 아르기닌이 풍부해 근육 형성과 면역력 향상에 좋고, 고혈압과 당뇨 예방에 도움이 된다.
전어는 제철을 맞아 듬뿍 오른 지방의 고소한 맛이 일품으로 구워 먹어도 맛있고, 회로 먹어도 맛있는 가을철 대표 별미다. 전어는 필수아미노산과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데, 필수아미노산은 간 기능 개선과 기력회복에 좋으며 ,오메가-3 지방산(EPA, DHA)은 심혈관계 질환 예방과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된다.
이달의 수산물인 대하, 전어를 비롯한 수산물 관련 정보는 '어식백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양수산부는 또 가족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과 온전히 쉴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경기도 화성시 전곡리마을과 경상북도 울진군 해빛뜰마을을 9월 이달의 어촌 여행지로 선정했다.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전곡리어촌체험휴양마을은 서해안 최대규모의 요트 정박지(마리나)를 갖춘 곳으로, 푸른 바다와 하얀 요트의 조화가 멋진 장관을 이룬다. 전곡리마을에서는 매년 가을 ‘전곡항 망둥어 낚시대회’가 개최되는데, 올해는 오는 9월 21일로 예정돼 있다. 이외에도 갯벌체험과 전곡항 해적선타기 체험도 할 수 있다.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기성망양해수욕장에 있는 해빛뜰어촌체험휴양마을은 동해안의 맑은 바다와 소나무 군락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마을이 운영하는 해빛뜰펜션에서 시원한 동해가 한 눈에 들어온다. 바비큐장, 카페도 준비돼 있다. 특히 마을 펜션 옆 해빛뜰캠핑장의 솔숲텐트존에서는 소나무가 만드는 그늘은 더위를 잊게 한다.
9월 이달의 어촌 여행지에 관한 자세한 관광 정보는 '바다여행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양수산부는 이와 함께 9월 이달의 해양생물로 옥덩굴(Caulerpa okamurae)을 선정했다.
옥덩굴은 암반에 붙어 자라며, 5-20cm 길이의 가지에서 알맹이 모양의 작은 가지가 돋아나 포도와 같은 형태를 띠는 해조류다. 일본, 베트남에서 서식하는 옥덩굴과 유사한 종인 바다포도가 국내에 식용으로 수입된다. 한국의 옥덩굴도 이를 대체한 식재료로 활용될 잠재력이 높다.
2000년대 전까지 제주도를 포함한 동해안 일부 지역(영덕, 울릉도, 독도)에 서식하는 종이었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현재는 강원도(주문진)까지 서식지가 확대됐다. 해양수산부는 2023년 4월부터 옥덩굴을 해양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지정해 관찰한다.
옥덩굴은 따듯한 바다에 서식하는 아열대성 해조류로 조간대 하부에서 조하대까지 주로 파도의 영향을 적게 받는 곳에서 관찰된다. 수온이 상승하는 여름철에 무성하게 자라며 군락을 이루는 경향이 있다.
옥덩굴을 비롯한 다양한 해양생물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해양생명자원통합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양수산부는 9월 이달의 등대로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의 울릉도등대를 선정했다. 이 등대는 지난 1958년 최초 설치돼 25초 간격으로 하얀색 불빛을 깜빡이며 동해를 지나는 선박의 안전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울릉도등대는 '바람을 기다리는 언덕'이라는 뜻의 대풍감 절벽 위에 있다. 등대에서 몽돌로 이루어진 학포해변과 코끼리 모양을 닮은 바위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등대로 가기 위해서는 태하마을 버스정류장에서 30분가량 걸어 올라가거나 모노레일을 이용할 수 있다. 모노레일을 이용하면 울릉도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며 좀 더 쉽게 등대에 도착할 수 있다.
해양수산부는 이달의 등대를 방문하거나 의미가 있는 여행 후기를 작성한 여행자를 연말에 선정해 예쁜 등대 기념품과 50만원 상당의 국민관광상품을 증정할 예정이다. 자세한 행사 참여방법 등은 국립등대박물관 누리집의 ‘등대와 바다’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등대 주변 관광정보는 울릉군 관광문화 누리집에 소개돼 있다.
해양수산부는 9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에 있는 절대보전무인도서 목도(目島)를 선정했다.
목도는 고도 10m, 길이 200m, 면적 1만5천74㎡ 규모로 온산국가산업단지에서 약 0.1㎞, 울산 신항에서는 남쪽으로 약 1㎞ 떨어진 곳에 있다. 목도라는 이름은 섬 모양이 사람의 눈처럼 생겼다고 해 붙여졌는데, 동백나무가 많고 그 꽃이 아름다워 동백섬으로 불리기도 한다.
울릉도와 독도를 제외하고 동해에서 유일한 상록활엽수림을 보유한 가치가 인정돼 지난 1962년 천연기념물(울주 목도 상록수림)로 지정된 목도는 상록수림의 보호를 위해 관리 및 학술 목적을 제외하고 현재 출입이 제한되고 있다.
목도를 포함한 무인도서 정보는 해양수산부 무인도서 종합정보제공시스템에서, 인근 관광 정보는 울산광역시 울주관광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