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ODA 협업으로 아시아·아프리카 12개 개발도상국 빈곤 극복 지원

행정안전부-경북도-한국국제협력단(KOICA) 업무협약(MOU) 체결 2024~2033년간 4천억원 투입 아시아・아프리카 12개국 농촌개발 지원

2024-08-29     정유철 기자
행정안전부는 8월 29일 경상북도,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새마을ODA 협업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경상북도

새마을ODA협업사업으로 2024년부터 2033년까지 4천억원을 투입해 아시아·아프리카 12개국농촌개발을 지원한다.

행정안전부는 8월 29일(목) 경상북도,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이 같은 내용의 새마을ODA 협업사업(농촌공동체 개발 프로그램, “이하 새마을 협업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경상북도가 추진한 새마을 세계화 사업의 국책화, 표준화, 국제화를 실현함으로써 행정안전부와 무상원조 대표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과 힘을 합해 아프리카와 아시아 개발도상국 12개국에 새마을운동을 전수해 환경개선, 소득증대, 역량개발 등 새마을운동 핵심사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2024년부터 2033년까지 10년간 약 4천억 원을 투입하여 ‘새마을ODA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원 대상 국가는 아프리카, 동남아 국가 중 국가 잠재력과 새마을운동 확산도 등을 고려해 선정할 예정이다. 지원의 주요 내용은 마을 환경개선·소득증대 사업, 새마을 교육을 통한 주민 역량개발 등이다.

행안부와 경북도는 현지 연수원 운영과 새마을 교육을 전담하고, KOICA에서는 현지 연수원 증축 및 자립마을 육성을 지원한다.

행안부는 각 지역의 농촌 자립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춰, 수원국(受援國) 새마을지도자, 현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새마을교육을 제공한다. 특히, 1970년대 실제 새마을운동 사업방식을 그대로 적용하지 않고, 개도국의 여건과 현실에 맞춰 참여동기·경쟁심 제고, IT·기후변화·청년창업 등의 현대적 요소를 고려한 새마을운동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새마을지도자의 교육을 지원할 전문가와 청년, 농업기술자 등을 파견해 농업생산성 증대와 새마을운동 자생화도 지원한다.

새마을 협업사업이 추진되면 기존 행안부가 지원하던 지구촌 새마을운동 연수생이 연간 700여 명에서 4천 700여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내 청년 32명이 현지연수원에 전문가 자격으로 진출하여 해외 경험을 쌓은 청년 전문가를 양성할 기회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경북도는 개발도상국을 경상북도와 같이 만드는 언아더(Another) K(경북)-프로젝트를 개발‧시행해, 새마을운동을 통한 개도국 국가변혁 사업요청에 부응할 예정이다.

경상북도는 농업 대전환, 스마트팜 등 농업 인프라와 소프트웨어를 현지에 수출하고, 현지 인재 육성을 통한 개도국 농촌 발전과 한국 농축산 농가의 농번기 및 방역 인력 해소 등의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다.

또한, 저출생 및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새마을운동 사업지역의 해외 유학생과 해외 우수 외국인 근로자 인력을 지역에 유치해 한국 기업은 일 잘하고 믿을 수 있는 외국인을 고용하고, 외국인 근로자는 불법 브로커와 송출 비용 등으로 실질소득이 감소하지 않도록 하는 등 외국인 근로자와 우리 국민 모두 WIN-WIN(윈윈)하는 사업을 시행한다.

이 밖에도 국내 지역 청년 IT 전문가 및 영농 지역 기술자 등 전문가 현지 파견을 통해 개발도상국 전문 직업교육을 강화하고, 지역 기업들이 현지에 진출할 수 있게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