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도래한 5G시대, 실감형 콘텐츠로 미래를 연다!
실감형 콘텐츠 개발 및 발전 전략 수립 위해 민‧관 협력
새롭게 도래한 5G시대, 4차 산업혁명 시대 국민의 문화 향유에 변혁을 일으킬 실감형 콘텐츠 발전 전략을 모색하는 ‘실감형 콘텐츠 진흥위원회’가 출범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5일 오후 2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실감형 콘텐츠 진흥위원회’(이하 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몰입감과 사실감을 극대화한 실감형 콘텐츠는 5G 이동통신 초저지연 연결망(네트워크)에서 유통될 대표 콘텐츠로 높은 기대를 받아 왔다. 하지만, 개인 장비 보급 속도가 더디고, 체험존을 중심으로 한 수익모델은 아직 초기 형성 단계이다. 또한, 콘텐츠 개발과 유통에 종사하는 업체들은 높은 제작비용과 유통의 불확실성, 창의적 콘텐츠 제작을 위한 우수 인력과 기반시설의 부족 등으로 국내 시장 성숙을 위해서는 아직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는 지적도 계속되고 있다.
이에 문체부는 세계 최초 5G 이동통신 상용화가 개시된 현 시점에서 우리 실감형 콘텐츠가 국민의 일상에 한 발 더 다가가고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고자 민관 공동 위원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김용삼 문체부 제1차관을 위원장으로 하여 이동통신 3사, 콘텐츠 제작‧유통 업체, 학계, 연구계 전문가로 구성된 ‘실감형 콘텐츠산업 발전 전략’ 수립을 추진해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실감형 콘텐츠 산업을 만들 계획이다.
또한, 세계 수준의 실감콘텐츠 기업 육성을 비롯해 콘텐츠와 기술을 아우르는 창의적인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기술 연구개발 및 국내외 유통 활성화 등 분야별 민관 협력 사업을 발굴한다. 또한, 법‧제도 및 규제 개선 사항과 민간의 정책적 지원요청 사항 등을 심의한다.
특히, 문화산업과 기초예술, 문화재, 미디어, 스포츠, 문화기반시설 등 다른 산업과의 융‧복합 분야에서 창의적인 콘텐츠 창작과 유통을 촉진할 수 있도록 공공 수요창출 전략도 병행한다. 이에 올해에는 국립중앙박물관이 ‘우수 문화자원 실감형 콘텐츠 제작 및 체험관 조성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위원회는 체계적인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전문가와 실무진들을 중심으로 ▲기업·인재 육성 분과 ▲유통·해외진출 분과 ▲법·제도 개선 분과 ▲콘텐츠·예술·미디어 분과 ▲스포츠 분과 ▲문화기반·관광 분과 ▲융·복합 미래 분과 등 7개 분과를 운영한다. 각 분과에서는 위원들과 함께 분야별 정책과제 발굴, 현장 의견수렴, 대안의 집행방안 마련 등 실질적인 역할을 담당해 나갈 계획이다.
김용삼 문체부 제1차관은 “실감형 기술이 성공하려면 이용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좋은 콘텐츠가 쏟아져 나와 국민의 일상에 자리 잡을 수 있어야 한다.”며 “전 세계가 장비와 네트워크에 경쟁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바로 이 시점에 우리 실감형 콘텐츠가 여러 걸림돌을 넘어 세계로 도약해 나갈 수 있도록 민관과 협력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