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국 땅 밟는 사할린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 16위
14일 국립망향의 동산에서 추모식 개최
대일항쟁기인 1938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에 의해 러시아 사할린 땅으로 끌려가 탄광, 토목공사, 공장 등에서 혹독한 노동에 시달리다, 광복 후에도 일본 정부의 방치와 구 소련과의 수교가 이루어지지 않아 1990년까지 귀환길이 막혀 이국땅에서 생을 마감한 강제동원 희생자의 유골이 모국의 품에 안긴다.
행정안전부는 9월 14일 사할린 강제동원 한인 희생자 유골 16위를 ‘국립망향의 동산’ 내 납골당에 안치한다. 16위의 유골은 국내 봉환에 앞서 사할린에서 묘지를 개장해 유해를 수습‧화장하고, 사할린 한인회와 러시아 정부 관계자가 함께 참석한 추도 및 환송식을 거행한 바 있다.
그동안 정부는 러시아 정부와 사할린 한인묘지 발굴과 봉환에 관한 합의를 한 후, 지난 2013년부터 17년까지 한인 희생자 유골 55위를 봉환해왔다. 올해는 사할린 희생자 유골 16위와 함께 그 배우자 유골 3위도 발굴 및 수습하여 국내로 들어온다.
14일 오후 2시에 열리는 추도식에는 강제동원피해자 유족과 유족단체, 정부 각 부처 관계자와 국회의원, 주한러시아대사관 및 주한일본대사관 관계자, 지방자치단체장 등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사할린 강제동원 한인은 1945년 종전 당시 약 4만3천 명이었던 것으로 학계는 추정하고 있다. 이번에 부친의 유골을 봉환하는 박재일(78) 씨는 “아버지가 사할린에 강제 동원되어 고생하시다 고국 땅을 못 밟고 1952년 사망하셨다. 어머니는 평생 아버지를 마음에 품고 사셨는데, 생전에 유골이라도 모셔오고 싶다는 평생의 한을 조금이나마 풀어드린 것 같다.”고 소회를 밝혔다.
허만영 행정안전부 과거사관련업부지원단장은 “정부는 앞으로도 해외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 봉환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8월 15일 광복절에도 한국민족종교협의회와 일제강제징용희생자 유해봉환위원회, 8·15광복절 민족공동행사준비위원회가 주최하고 대한민국순국선열유족회, 사단법인 국학원 등 민족단체 등이 공동주관하여 일본 땅에 남겨진 일제 강제징용자 무연고 유골 35위 국내 봉환을 기념하는 국민추모식을 개최한 바 있다. 대일항쟁기 강제징용자는 600만 명에 이르고 그 중 200만 명이 돌아가셨다. 아직도 일본, 중국, 러시아, 태평양 군도 등에서 고국 땅을 밟지 못한 유해가 추정 100만 명, 밝혀진 것만 40만 명이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