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젊은 나이에 광복군에 투신, 조국독립을 위해 일제에 맞서 싸우다 전사·순국한 뒤 서울 수유리에 안장된 한국광복군 선열 17위의 국립묘지로 이장을 8월 11일 시작했다.

국가보훈처는 제77주년 광복절을 맞아 8월 11일(목)부터 14(일)까지 나흘간의 일정으로 수유리 한국광복군 합동묘소에 있는 광복군 선열 17위를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한다.

‘다시, 대한민국! 영웅을 모십니다’라는 주제로 추진되는 이번 이장은 묘소 개장부터 임시 안치, 국민 추모·참배 기간 운영, 합동봉송식 및 합동안장식의 순으로 진행된다.

[이미지 국가보훈처]
[이미지 국가보훈처]

 

먼저, 11일(목)에는 오전부터 서울 수유리 한국광복군 합동묘소를 개장하여 오후에 서울현충원으로 운구, 현충관에 임시 안치한다.

12일(금)부터 13일(토)에는 국민이 광복군 선열들을 추모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을 통해 ‘국민 추모·참배 기간’을 운영한다.

이후 14일(일) 오전 서울현충원에서 한국광복군 선열 합동 봉송식을 거행한 뒤 국립대전현충원으로 봉송, 오후 대전현충원에서 안장식을 개최한다.

수유리 한국광복군 합동묘소(서울 강북구 수유4동 산127-1)에 안장된 광복군 선열 17명 중 13명은 중국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순국했다. 나머지 4명은 광복 후 국내 등에서 작고했다.

수유리 한국광복군 합동묘소 [사진 국가보훈처]
수유리 한국광복군 합동묘소 [사진 국가보훈처]

광복 후 선열들을 따로 모실 공간이 없어 조계사 등에 안치되었지만, 이후 독립운동가들을 수유리에 모시기 시작하면서 1961년 합동묘소를 조성, 봉분 1기에 17위의 선열들이 함께 안장됐다.

묘소는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지청천 장군 구 묘소(1957년 작고 후 수유리에 묘역 조성, 1994년 서울현충원 이장) 아래에 조성한 뒤 1981년까지 각각 시점을 달리하여 안장됐다. 당시 선열들을 모실 국립묘지가 없었고, 광복군 선열들 역시 당시에는 독립유공자가 아니었다. 이후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았지만, 대부분의 선열이 젊은 나이에 순국, 후손도 없어 지난 77년간 국립묘지로 이장이 이뤄지지 않았다.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 및 광복군 합동묘역은 그동안 서울시 강북구에서 관리해오다 지난 2021년 2월, 국가보훈처에서 국가관리묘역으로 지정, 전담 관리직원 배치와 묘역 개보수, 안내·편의시설 설치 등 국립묘지에 준하는 수준으로 관리하고 있다.

수유리 광복군 선열 17위

① 김유신(1991년, 애국장) : 1943년 2월, 중국 태항산 전투에서 전사

② 김찬원(1991년, 애국장) : 1946년, 중국 산서성 태원지구에서 지하공작 중 일본군에 체포, 순국

③ 백정현(1991년, 애국장) : 1944년 4월, 중국 북경감옥에서 탈옥 시도, 실패 후 총살 순국

④ 이해순(1991년, 애국장) : 1945년 8월, 중국 산서성 운성에서 공작활동 중 체포, 순국

⑤ 현이평(1995년, 애국장) : 1941년 1월, 중국에서 한국인의 민족의식 고취 등 활동 중 피살

⑥ 김순근(1990년, 애족장) : 1945년 2월, 일본군에 체포·억류 중 비밀 보전을 위해 자결 순국

⑦ 김성률(1991년, 애족장) : 1943년 9월, 적 후방에서 공작 중 전사

⑧ 김운백(1991년, 애족장) : 1943년 9월, 중국 태항산 전투에서 전사

⑨ 문학준(1991년, 애족장) : 1943년 8월, 중국 하남성 수무현에서 전사

⑩ 안일용(1991년, 애족장) : 1944년 9월, 중국 하남성 수무현에서 순국

⑪ 전일묵(1991년, 애족장) : 1945년 8월, 초모공작 및 항일운동 전개 중 일본군에 체포, 순국

⑫ 정상섭(1991년, 애족장) : 1943년 9월, 중국 태항산 전투에서 전사

⑬ 한 휘(2022년, 애족장 예정) : 중국 태항산 전투에서 전사(추정)

⑭ 이한기(1990년, 애족장) : 1949년 10월 5일 호림부대 소속으로 작전 중 전사

⑮ 이도순(1990년, 애족장) : 1969년 11월 28일, 서울 자택에서 작고

⑯ 동방석(1990년, 애족장) : 1971년 1월 20일, 서울 자택에서 작고

⑰ 조대균(1990년, 애족장) : 사망일자 및 사망장소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