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 가꾸기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학교 텃밭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가 확인되는 등 긍정적 효과가 잇따라 공개돼 효과적인 텃밭 가꾸기에 대한 정보와 지식의 보급이 시급한 시점이 됐다. 특히 부적절한 텃밭 관리로 긍정적 효과보다 부정적 영향을 불편을 겪게 되는 결과를 방지하기 위한 올바른 지식과 정보의 제공이 시급하다.

농촌진흥청은 도시농부를 위해 텃밭 모형 5종을 지난 3월 추천했다. 텃밭 모형 5종은 맛, 숨, 멋, 빛, 꿈 다섯 가지 주제에 어울리는 채소나 허브, 화훼, 과수를 적절하게 배치해 심을 수 있도록 한 예시 텃밭이다. 작물을 재배 목적에 따라 세분화해 배치한 점이 특징이다.
 
'맛 텃밭'은 다양한 작물을 맛볼 수 있도록 고추, 참외, 당근, 시금치, 파, 셀러리 등 총 16종의 채소로 구성했다. '숨 텃밭'은 허브식물과 채소를 배치, 허브향을 통해 채소의 병해충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꾸민 텃밭이다. 가지, 고추 등 채소 6종과 오레가노, 바질 등 허브 6종으로 구성했다. '멋 텃밭'은 경관적 아름다움을 고려해 만들었다. '빛 텃밭'과 '꿈 텃밭'은 색 중심의 기능성 텃밭이다. '빛 텃밭'은 노랑 빨강계열 카로티노이드 성분을 함유한 채소 6종, 허브 3종, 화훼 4종으로 만들었다. '꿈 텃밭'에는 자주 보라계열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한 채소 6종, 허브 4종, 화훼 3종을 배치했다. 

연구진은 또 텃밭 모형을 적용한 결과, 일부 작물은 병해충 방제와 생육에서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배춧과 작물인 배추, 양배추, 브로콜리, 무, 케일은 단독으로 심었을 때보다 궁합이 좋은 식물과 재배했을 때 병해충 피해가 적었다. 허브와 함께 심었을 때는 최대 45.9%, 화훼와 심었을 때는 최대 42.8%, 채소류와 심었을 때는 최대 52.3% 피해가 줄었다. 방울토마토는 단독으로 심었을 때보다 궁합이 좋은 매리골드와 함께 재배했을 때 수확량이 17% 늘고, 총 열매 무게도 23.9% 증가했다.

텃밭 모형 5종은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  ‘(함께하면 좋아요~환경보존 솔루션) 친환경 동반식물’ 책자를 통해 자세히 볼 수 있다.

‘친환경 동반식물’ 책자 표지.  [이미지  농촌진흥청 제공]
‘친환경 동반식물’ 책자 표지. [이미지 농촌진흥청 제공]

 농촌진흥청은 이에 앞서 지난해 6월 해충 감소와 수확량 증가에 도움이 되는 ‘동반식물 활용 소면적 텃밭 모델(모형)’을 제시했다. 동반식물이란 함께 심으면 양쪽 모두, 또는 한쪽에 좋은 영향을 주는 식물을 말한다. 연구진이 성분을 분석한 결과, 동반식물은 해로운 벌레를 쫓고 이로운 벌레를 끌어들이며, 공기 중 질소를 흡수해 토양에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생육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작물 종류에 따라 잎채소 5종, 뿌리채소 4종, 열매채소 4종, 줄기채소 2종, 식량작물 3종 등 총 18종의 동반식물을 선정했다. 이들 작물은 4월부터 10월까지 사계절 텃밭에 심을 수 있다.  가지는 콩류와 함께 심으면 해충을 막는 효과가 있지만, 경쟁 관계인 해바라기, 감자와는 함께 심는 것이 좋지 않다. 당근은 콩류와 차이브, 고수를 함께 심으면 잘 자라고, 해충도 방제할 수 있다. 허브의 하나인 딜은 경쟁 관계이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양배추의 경우에는 바질과 양파, 콩류를 함께 심으면 잘 자라고, 금잔화, 당근, 셀러리와 함께 심으면 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 브로콜리, 고추, 갓은 경쟁 관계이므로 함께 심는 것은 좋지 않다. 수직형, 덩굴형, 포복형 등 작물 생육 특성에 따라서도 함께 심으면 좋은 작물이 있다. 위로 곧게 자라는 옥수수는 덩굴성인 강낭콩, 포복형인 참외와 궁합이 맞다. 또한, 수수는 덩굴성인 여주, 포복형인 땅콩과 함께 심으면 잘 자라고 잡초 발생이 줄어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텃밭 모델을 홍보물 등으로 제작해 일반인과 도시농업전문가에게 소개할 계획이다.

한편, 학교 텃밭 교육의 사회 경제적 가치를 분석한 결과, 연간 총 6천69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학교 텃밭 교육의 가치를 객관화하기 위해 순천대 이춘수 교수팀과 함께 지난해 3-10월 사회ㆍ경제적 가치를 분석한 결과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교 텃밭 교육의 사회적 가치는 운영기금 기준 연간 1천931억원(2020년 기준)으로 나타났다. 학습능력 향상과 사회성을 증진하는 교육 가치 630억원, 신체와 정신적 건강을 증진하는 건강가치 512억 원, 기후변화 완화, 생물 다양성 증진 등의 환경 가치 467억원, 심미적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는 등 복지 가치는 322억원이었다.
학교 텃밭 교육의 경제적 가치는 연간 4천761억 원으로 집계됐다. 강사 고용 등 일자리 창출 효과가 2천662억 원이었고, 텃밭 조성에 따른 산업 파급 효과는 1천573억 원이었다. 학교 텃밭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국내 농산물을 소비함으로써 발생하는 농가 소득 증대 효과는 526억 원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 등으로 좁은 면적에서라도 텃밭을 가꾸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라며 "이번에 제시한 모델을 활용하면 작물도 잘 자라고 해충 방제 효과로 텃밭 공간을 알차고 친환경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