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농도가 높으면 꿀벌들이 꽃꿀을 채집하는 길 찾기 능력이 떨어져 더 오랜 시간 비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미세먼지로 인해 가시거리가 짧아져 운전이나 항공운항 등에 불편을 겪는 것처럼 생태계 구성원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 된 것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황사가 발생하기 전과 후의 꿀벌 비행시간을 추적 조사해 초미세먼지 농도 1㎍/㎥가 증가하면 꿀벌이 꽃꿀을 채집하기 위해 식물을 찾는 시간이 32분 증가한다고 밝혔다.

고농도 초미세먼지와 꿀벌의 비행시간이 상관 관계가 있음을 국립산림과학원과 서울대 정수종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밝혔다. 사진 중앙 RFID태그를 부착한 일벌 개체. [사진=산림청]
고농도 초미세먼지와 꿀벌의 비행시간이 상관 관계가 있음을 국립산림과학원과 서울대 정수종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밝혔다. 사진 중앙 RFID태그를 부착한 일벌 개체. [사진=산림청]

꿀벌의 평균 비행시간은 황사 이전 45분이나 고농도 이후 77분으로 평소보다 비행시간이 1.7배 증가했다. 황사 발생 이후에도 꿀벌의 길 찾기 능력은 완전히 회복되지 못했으며, 비행시간이 평균 71%가 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황사 발생과 상관없이 대기 중 초미세먼지 농도 증가가 꿀벌의 비행시간 증가와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전 세계 최초로 밝힌 것이다. 이 결과는 우리나라에 초미세먼지 고농도가 빈번한 봄철 꿀벌의 정상적인 채밀활동에 영향을 주어 벌꿀 생산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국립산림과학원과 서울대학교 정수종 교수 연구팀이 중국 북경식물원에서 2017년 4월 27일부터 5월 7일까지 꿀벌 400마리에게 무선주파수식별장치(RFID)를 표식해 고농도 초미세먼지 발생 전후 꿀벌의 비행시간을 비교한 연구 성과이다.

국립산림과학원과 서울대 정수종 교수 연구팀 연구결과 인포그래픽. [사진=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과 서울대 정수종 교수 연구팀 연구결과 인포그래픽. [사진=산림청]

논문 주저자 조유리 서울대 박사과정 연구원은 “미세먼지로 인한 화분 매개자 활동 연구는 전 세계 최초”라고 밝혔고, 연구책임자인 서울대 정수종 교수는 “미세먼지로 인해 인간뿐 아니라 생태계 구성원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연구가 장기적, 체계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립산림과학원 박찬열 연구관은 “전국에 설치한 산림 미세먼지 측정넷 20개소 60지점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이 산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생태와 진화분야 국제 저명 저널인 ‘Ecology and Evolution(에콜로지 앤드 에볼루션)’ 2021년 1월 23일 온라인에 게재되었다.

한편, 환경부(장관 한정애)에 의하면 제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시행 두 번째 달인 올해 1월 전국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20㎍/㎥를 기록하여 최근 3년 평균치 대비 35%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1월 기온 급감을 동반하는 대륙고기압의 강한 확장이 있어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