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몽촌토성에 백제 왕궁이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宮(궁)’자가 새겨진 토기 등 지난 6년 간 발굴한 유물 600여 점이 공개된다.

한성백제박물관(관장 김기섭)은 오는 1월 19일부터 3월 21일까지 한성 백제 왕도의 핵심유적인 몽촌토성과 석촌동 고분군에서 발굴·출토된 유물을 최초로 공개하는 「백제왕도 발굴조사 성과전, 왕성과 왕릉」특별전을 개최한다.

한성백제박물관은 1월 19일부터 3월 21일까지 '백제왕도 발굴조사 성과전, 왕성과 왕릉'특별전을 개최한다. (시계방향으로) '宮(궁)'자가 새겨진 토기, 사람얼굴이 새겨진 토기, 화장 인골, 절구와 공이. [사진=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은 1월 19일부터 3월 21일까지 '백제왕도 발굴조사 성과전, 왕성과 왕릉'특별전을 개최한다. (시계방향으로) '宮(궁)'자가 새겨진 토기, 사람얼굴이 새겨진 토기, 화장 인골, 절구와 공이. [사진=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가 2013년부터 약 6년에 걸쳐 발굴하고 고증한 결실을 총망라해 대대적으로 여는 것이다. 그동안 이 일대 발굴유물을 일부 공개한 적은 있으나 백제유적의 핵심인 몽촌토성(북문지일대)과 석촌동 고분군(연접식적석총)에서 나온 유물 수백 점을 공개하는 건 처음이다.

특히 ‘宮(궁)’자가 새겨진 토기와 백제 왕실의 매장 의례를 보여주는 ‘화장인골’, 그리고 함께 발견된 유리구슬과 장신구는 최초 공개이다.

전시는 출토된 유물은 물론 지도‧영상‧모형 등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해 한성기 백제 왕도의 경관과 몽촌토성의 역사성, 석촌동 고분군의 구조, 백제인의 매장의례 등을 사실감 있게 구현했다.

전시는 총 4부로 ▲1부 ‘백제왕도로의 초대’ ▲2부 ‘백제 왕성, 몽촌토성’ ▲3부 ‘백제 왕릉, 석촌동 고분군’ ▲4부 ‘과거에서 미래로’ 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백제왕도 발굴조사 과정과 결과를 지도‧연표로 나타낸다. 대표 유물은 ‘宮(궁)’자가 새겨진 토기로, 백제 유적에서 ‘宮(궁)’자가 새겨진 유물이 발견된 건 처음이다. 몽촌토성에 백제왕궁이 있었음을 증명하는 근거로 주목받는다.

2부는 몽촌토성에서 삶을 영위했던 사람들의 문화상을 출토유물로 보여준다. 당시 백제 귀족들이 차(茶) 문화를 즐겼음을 보여주는 찻잎을 가는 절구와 공이, 찻잔을 만나볼 수 있다. 의례용 그릇인 ‘세발토기’와 ‘그릇받침’을 비롯해 ‘굴뚝장식’과 ‘토관’ 등을 통해 백제 왕성으로서 몽촌토성의 위상도 엿볼 수 있다. 백제인의 얼굴을 새긴 ‘사람 얼굴이 새겨진 토기’도 미소를 자아낸다.

(시계방향으로) 금(은)박 구슬, 세발토기, 금 귀걸이, 수막새. [사진=서울시]
(시계방향으로) 금(은)박 구슬, 세발토기, 금 귀걸이, 수막새. [사진=서울시]

3부 전시에서 석촌동 고분군의 무덤 구조와 성격, 백제 왕실의 매장의례를 살펴볼 수 있다. 여러 명을 화장한 ‘화장 인골’이 처음으로 공개된다. 출토 당시 화장 인골 파편과 함께 불에 탄 흙 속에서 발견된 유리구슬, 금 귀걸이 등도 최초 공개된다. 이밖에 백제의 금제 장신구, 금(은)박 구슬 등도 볼 수 있다.

4부에서는 야외발굴조사 현장을 그대로 재현한 공간을 마련한다. 평소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발굴조사원의 일상을 들여다볼 수 있게 했다. 이를 통해 고고학 야외발굴조사가 단순히 과거를 탐구하는 데 머물지 않고 더 나은 미래로 나가기 위한 현재의 노력임을 설명한다.

이번 특별전은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 누리집(yeyak.seoul.go.kr)을 통해 사전예약 후 방문해 관람할 수 있다. 사전예약 인원 미달 시 현장 접수도 가능하다.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5인 이상 단체관람은 금지되며 시간당 70명까지 입장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