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장관 정영애)가 21일 발표한 ‘2019년 기준 국가성평등지수와 지역성평등지수 측정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가성평등지수는 전년보다 0.5점 오른 73.6점이다.

국가성평등지수 연도별 추이. [사진=여성가족부]
국가성평등지수 연도별 추이. [사진=여성가족부]

지역성평등지수도 2018년 대비 0.7점 상승한 76.4점으로 상승했다. 지역별로 성평등 지수가 높은 상위지역은 광주, 대전, 부산, 제주(가나다 순)이며 하위지역은 경남과 경북, 전남, 충남(가나다 순)이다.

국가성평등지수는 2015년 70.5점 지역성평등지수는 2015년 72.1점 이후 꾸준히 상승세이다. 해당 조사는 성평등 관점에서 정책 추진방향을 수립하고 분야별 과제 점검을 위해 여성가족부가 2010년부터 매년 조사 발표하고 있다.

남녀의 격차를 측정하는 성평등지수를 결정하는 요인은 ▲성평등한 사회참여 ▲여성의 인권복지 ▲성평등 의식문화 등 3개 영역과 경제활동복지가족 등 8개 분야로 구성되며, 100점이 ‘완전한 성평등 상태’를 나타낸다.

국가성평등지수 분야별 수준 변화. [사진=여성가족부]
국가성평등지수 분야별 수준 변화. [사진=여성가족부]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가족 분야의 경우 남성육아휴직자가 지속 증가한 데 힘입어 2018년 61.2점에서 2019년 62.8점으로 상승했다. 2018년 육아휴직자 중 여성은 81,537명 대비 남성은 17,662명이었으며, 2019년에는 여성 82,868명, 남성 22,297명이었다.

안전 분야는 사회안전에 대한 전반적 인식 의식지표가 크게 개선되어 2018년 64.9점에서 2019년 66.7점으로 상승했다.

또한 정부위원회 위촉직 위원 및 4급 이상 공무원 여성 비율이 증가한 영향으로 ‘의사결정 분야’ 점수가 2018년 36.2점에서 2019년 38.1점으로 가장 크게 상승했다. 정부위원회 여성비율을 2018년 41.9%에서 2019년 43.0%로 증가했고, 4급이상 공무원은 2018년 여성 1,185명 대비 남성 6,908명에서 2019년 여성 1,330명 대비 남성 6,905명이다.

지역성평등지수에서 눈에 띄는 점은 2018년과 비교해 광주가 중하위에서 상위지역으로 가장 크게 상승했고, 대전은 중상위에서 상위지역으로 상승했다. 반면 대구와 서울은 상위에서 중상위 지역으로 하락했다.

여성가족부 정영애 장관은 “정부에서 여성 대표성을 높이고 일‧생활 균형 등 정책을 적극 추진한 결과 성평등 수준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나 분야별 편차가 여전히 크다.”고 지적하며 “의사결정, 안전 등 포함 모든 분야의 성평등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이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해 실효성 있는 정책들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해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국가성평등지수 개편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