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시각장애인이 한글과 같은 원리를 통해 글자를 익히도록 한 고유 문자체계가 있었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4일 ‘한글점자 《훈맹정음訓盲正音》 제작 및 보급 유물’과 ‘한글점자 《훈맹정음》 점자표 및 해설원고’를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했다. 《훈맹정음音》은 1926년 서울 맹학교 교사 송암 박두성(1888~1963)이 창안한 우리나라 최초의 6점식 점자이다.

(왼쪽) 훈맹정음 점자표 (오른쪽) '한글점자의 유래' 초고본. [사진=문화재청]
(왼쪽) 훈맹정음 점자표 (오른쪽) '한글점자의 유래' 초고본. [사진=문화재청]

국가등록문화재 제800-1호로 등록된 ‘한글점자 《훈맹정음訓盲正音》 제작 및 보급 유물’은 《훈맹정음》의 사용법에 대한 원고와 제작과정 일지, 제판기, 점자인쇄기(로울러), 점자타자기 등 한글점자를 제작‧보급하기 위한 기록과 기구 등 8건 48점이다. 이는 근대 시각장애인사를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는 점에서 문화재 등록 가치를 인정 받았다.

(시계방향으로) 맹사일지, 점자인쇄기 로울러, 제판기, 점자타자기. [사진=문화재청]
(시계방향으로) 맹사일지, 점자인쇄기 로울러, 제판기, 점자타자기. [사진=문화재청]

국가등록문화제 제800-2호 ‘한글점자 《훈맹정음》 점자표 및 해설원고’는 「한글점자 」육필 원고본, 「한글점자의 유래」 초고본 등 한글점자의 유래와 작성원리, 그 구조아 체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유물로 총 7건 14점이다. 훈맹정음이 실제로 사용되기 이전까지의 과정을 통해 당시 시각장애인이 한글을 익히게 되는 역사를 보여주어 문화재 가치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