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침략의 최우선 거점이자 조선시대부터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중심이던 수도 경성의 행정을 책임지던 경성부윤들은 어떤 일들을 했을까?

서울역사편찬원은 서울 근현대사 자료집 시리즈 제5권 ‘국역 일제강점기 경성부윤 자료집’을 발간했다. 일제강점기 경성부윤으로 있던 자들이 쓴 연설문, 인사말, 예산 설명, 기타 기고문들 중 경성부 행정과 관련된 글들을 수집해 정리‧번역한 자료집이다.

서울역사편찬원이 발간한 서울 근현대사 자료집 시리즈 제5권 '국역 일제강점기 경성부윤 자료집'. [사진=서울시]
서울역사편찬원이 발간한 서울 근현대사 자료집 시리즈 제5권 '국역 일제강점기 경성부윤 자료집'. [사진=서울시]

일제 강점기 당시 재직한 경성부윤은 총 18명으로 그중 16명이 연설문 등 글을 남겼다. 경성부윤은 식민지 수도 경성의 행정 담당자로, 부윤이 수행한 각종 정책들에는 식민지 모순이 담겨있다.

이번 자료집을 통해 그들이 어떠한 정책을 수행했는지, 그것을 어떻게 구현했는지, 한국인에 대한 감시와 탄압에 있어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 등 그들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1920년대 이후 도시 계획과 시가지 확장과 관련해 ‘대경성大京城’건설을 강조한다. 그 원형인 일본의 ‘대도쿄大東京’의 도시 계획 및 시가지 확장은 간토대지진으로 초토화된 도시를 재건하는 과정에서 얻은 결과물이다. 큰 화재나 지진으로 붕괴된 적이 없는 경성과는 차이가 있었다. 부윤은 ‘본국 6대 도시에 버금가는 위상’을 강조했으나 경성부민, 특히 한국인에게 그것이 필요한지는 중요하지 않았다.

또한 전쟁으로 참전했다가 사망한 경성 거류 일본인 유족들에 대해 일왕 일가가 보낸 위문품에 오히려 감사해야 한다고 하면서 자국민인 일본인들의 생명마저도 경시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상배 서울역사편찬원장은 “이번 서울 근현대사 자료집 제5권 발간을 통해 근현대 서울 역사 연구의 폭을 넓히면서 시민들이 근현대 서울의 역사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서울 근현대사 자료집 제5권은 서울 주요 공공도서관에서 열람가능하며, 신청사 지하 1층 시민청 내 서울책방에서 구매할 수 있다. 11월부터 서울역사편찬원 누리집에서 전자책으로 온라인 서비스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