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학습상황 속 컴퓨터 앞에서 적극적으로 발표하는 아이가 있는 반면, 모니터 속 강의와 관계없이 스마트폰 게임에 열중하는 아이가 있다. 그 차이는 무엇인가?

온라인 학습이 상황에서 아이들의 학력격차가 심해지고 있다. [사진=글로벌사이버대학교]
온라인 학습이 상황에서 아이들의 학력격차가 심해지고 있다. [사진=글로벌사이버대학교]

“코로나19로 인해 국제사회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동적 학습’이 교육문제로 대두되었다. 핵심은 ‘두뇌훈련 습관’을 통해 뇌신경망의 변화가 와야 하는 것인데 지금까지 해온 지식기반 학습으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아동‧청소년 뇌교육 두뇌코칭 전문기관 BR뇌교육(비알뇌교육)이 지난 18일 오후 2시와 8시 개최한 온라인 학부모특강 ‘공부가 머니 6탄’에서 글로벌사이버대학교 뇌교육융합학과 장래혁 교수는 이와 같이 밝혔다. 이날 온라인 특강 참석자는 학부모, 교육관계자 등 590명이었다.

지난 18일 아동청소년 두뇌코칭 전문기관 BR뇌교육은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장래혁 교수를 초청해 '온라인 학부모 특강-공부가 머니 6탄'을 진행했다. [사진=강연 영상 갈무리]
지난 18일 아동청소년 두뇌코칭 전문기관 BR뇌교육은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장래혁 교수를 초청해 '온라인 학부모 특강-공부가 머니 6탄'을 진행했다. [사진=강연 영상 갈무리]

장래혁 교수는 ‘자신감, 자기주도성, 바른 인성’을 주제로 “현재 집단적 원격학습이 가능한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함께 하는 것이 일상이 된 상황에서 한국이 앞서서 모델을 만들고 있다.”고 현 상황을 전하며 “20세기형 교육의 허상을 좀 더 일찍 알게 되고 그 종말을 맞이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장 교수는 향후 교육의 방향을 “인간의 고유기재 개발로 나아갈 것”이라며 “이때 인성을 미래리더의 필수능력이 된다. 인성은 태도이고 열정이며, 자기주도성의 토대가 되는 마인드셋으로 기존 교육에서 가르칠 수 있는 게 아니다. 아이들이 성취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키워야 하는데 성적만으로 근원적인 성취감을 체험하지 못한다.”고 했다.

또한, 그는 체력과 정서, 인지의 균형을 강조하며 “우선 나의 몸을 조절할 수 있고, 몸과 소통하며 나의 몸 상태를 인지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어야 한다. 뇌교육에서 HSP12단 과정을 통해 신체자신감을 키우는 것은 이와 관련되었다.”라며 최신 학습 트랜드이자 뇌과학 원리를 바탕으로 한 ‘운동기반 학습’을 소개했다.

뇌교육의 기본단계와 목표. [사진=글로벌사이버대학교]
뇌교육은 최신 교육 트랜드인 '운동기반 학습'과도 일맥상통한다. 뇌교육의 기본단계와 목표. [사진=글로벌사이버대학교]

장래혁 교수는 한국뇌과학연구원이 2007년 9월~10월 영재고등학교 학생과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과정에 참여한 경험을 나눴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영재들의 두뇌활동 7가지 습관을 밝혔는데 그 중 하나가 ‘집중이 안 되면 빠르게 뇌 상태를 바꾼다.’였다.

영재고 학생들은 ‘집중이 잘 안될 때 자신의 상태를 전환한다’는 학생이 93%로 “1위 수면을 취해 뇌를 개운한 상태로 바꾼다. 2위 산책을 하거나 심호흡, 명상의 시간을 갖는다. 3위 음악을 듣거나 부른다. 4위 인터넷 서핑이나 컴퓨터게임을 하며 전환한다. 5위 운동을 한다.” 등 몸을 움직이는 것으로 뇌 상태를 바꾸었다.

반면 비교그룹인 일반 학생 그룹은 “응답률 50%가 집중이 안 되는 상태를 모른다고 답했고, 30% 집중이 안 되는 걸 알지만 바꾸지 않는다. 20%는 현재 상태를 바꾸기 위해 액션을 한다.”고 답했다.

한국뇌과학연구원이 2007년 영재고 학생과 일반학생 그룹 간의 학습에 관한 비교연구 결과. (위) 연구결과를 발표한 신문기사 (아래) 두 그룹 간 차이. [사진=글로벌사이버대학교]
한국뇌과학연구원이 2007년 영재고 학생과 일반학생 그룹 간의 학습에 관한 비교연구 결과. (위) 연구결과를 발표한 신문기사 (아래) 두 그룹 간 차이. [사진=글로벌사이버대학교]

장 교수는 “두 그룹의 차이는 재능이 아니라 두뇌훈련 습관의 차이이다. 영재 학생들은 자신의 현 상태를 인지하는 메타인지가 발달하고, 고등학생이 될 때까지 반복된 경험치를 통해 두뇌훈련습관을 키워왔기 때문에 뇌신경망이 변화되었다는 뜻”이라며 “영재학생들은 집중이 안 될 때 뇌 상태를 바꾸는 것이 습관이 되어 별 다른 노력 없이도 바로 바로 전환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자기주도학습은 뇌신경망 패턴의 변화가 습관이 되어서 무의식적으로 작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상적인 지식기반 훈련으로는 매우 어렵다.”고 설명했다.

장래혁 교수는 “인간의 의식변화는 △몸을 통한 신체적 훈련을 통한 자신감 향상 △정서적훈련을 통한 정서조절력 향상 △의식의 확장으로 가능하다. 즉, 행동습관의 변화훈련이 된 아이가 자기주도 학습, 능동적 학습도 잘 한다.”고 했다.

장 교수는 현재 인터넷 중독,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성을 적시하고 “정보종속성은 높아지고 인간의 고유역량은 떨어져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다. ‘스몸비족(스마트폰+좀비)’이라고 하여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신조어도 생겼다. 검색을 하지만 사색을 하지 않고, 눈을 감으면 수면은 하지만 상상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최근 인터넷 중독, 스마트폰 중독 등 정보에 종속되며, 자의식 부족으로 의사결정능력, 문제해결력이 떨어지고 있다. [사진=글로벌사이버대학교]
최근 인터넷 중독, 스마트폰 중독 등 정보에 종속되며, 자의식 부족으로 의사결정능력, 문제해결력이 떨어지고 있다. [사진=글로벌사이버대학교]

그는 “지난 10년간 초등학생은 지식이 늘었으나 의사결정능력이 떨어졌다. 대학생의 경우도 문제해결력이 떨어지는 추세”라며 자의식 부족을 지적하고 “학교, 학원 등에서 하는 집합교육 속에서 집중력을 보였던 학생들도 온라인 학습상황에서 자기주도학습이 잘 되지 않는 것 또한 선택과 결정의 주체가 ‘나’ 자신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했다.

장래혁 교수는 “정보에 종속되지 않고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주인의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뇌교육에서는 뇌를 생물학적 대상이 아니라 모든 힘을 기울여 활용하고 개발해야 할 교육적 대상으로 본다. 인간의 고유역량, 즉 자연지능을 개발해 목표를 향한 신념, 창조성 발현, 자신의 변화를 통해 세상을 바꾸는 힘을 키운다.”고 기존교육과의 차이를 설명했다.

뇌교육의 근본적인 차이. [사진=글로벌사이버대학교]
뇌교육의 근본적인 차이. [사진=글로벌사이버대학교]

강의를 마치며 장래혁 교수는 “인간은 과거를 성찰하고 미래를 예측하며, 현실에 집중을 할 수 있는 존재이다. 인간의 고등인식기능을 높이는 다양한 뇌교육 훈련을 통해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라는 인간고유역량의 근본 질문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부모님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옛날의식을 벗어나야 한다. 지구촌에서 살아갈 지구시민의식을 가진 아이로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