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는 정부 대표포털 ‘정부24’ 가입하고 사전 동의할 경우 정부가 보유한 행정정보를 활용해 국민 개개인이 받을 수 있는 보조금 내역을 찾아서 알려준다.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정부혁신 과제의 하나로 ‘국가보조금 맞춤형서비스’ 구축사업을 27일 오전 10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착수보고회를 시작으로 본격화 한다. 오는 12월까지 진행되는 사업은 (주)솔리데오시스템즈 컨소시엄이 맡는다.
![행정안전부는 27일 '국가보조금 맞춤형 서비스'구축사업을 착수한다. 맞춤형서비스 개념도. [사진=행정안전부]](/news/photo/202005/58627_74483_1328.png)
국가보조금 맞춤형서비스가 시작되면 보육료, 기초연금, 아동수당, 임산부 건강검진서비스 등 본인이 받을 수 있는 국가보조금을 알기 위해 일일이 웹사이트나 주민센터를 찾아야 했던 불편이 사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을 통해 집행되는 공공서비스 등록 기준, 절차를 수립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국가보조금 서비스목록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개인 및 가구의 특성과 기초생활수급, 농어업인 여부 등 행정기관 보유 자격‧수급정보를 연계해 맞춤형 안내를 한다.
이번 사업으로 우선 국고보조금 중 개인 및 가구에게 직접 전달되는 현금, 현물, 이용권, 서비스 중심으로 안내하며, 기획재정부,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고용노동부 등 범부처가 구축사업 협력할 예정이다.
올해 말 시범서비스 개통을 통해 내년 상반기에는 국민들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추진한다. 아울러 인터넷 검색확인이 불편한 정보소외 계층이 맞춤형 서비스를 어렵지 않게 이용할 수 있도록 주민센터 등 방문을 통한 안내도 병행할 방침이다.
행정안전부 이쟁여 정부혁신조직실장은 “사회적 약자가 몰라서 정부혜택 못 받는 일 없도록 서비스 제공방식을 대폭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