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은 ‘위안부’를 동원하는 과정에서 작성한 명부를 대부분 없앴으나, 그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빠졌거나 ‘간호부’ 등으로 존재를 감춘 명부, 연합군이나 조선인이 전쟁 후 귀환을 위해 스스로 작성한 명부 등을 집대성해 파악한 연구서가 발간되었다.

일본군의 '위안부' 동원방식, '위안소' 운영실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최신 연구성과를 집대성한 '덧칠된 기록에서 찾은 이름들'. [사진=여성가족부]
일본군의 '위안부' 동원방식, '위안소' 운영실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최신 연구성과를 집대성한 '덧칠된 기록에서 찾은 이름들'. [사진=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장관 이정옥)는 일본군의 구조적인 ‘위안부’ 동원방식과 ‘위안소’ 운영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위안부’관련 명부 최신 연구 성과를 모은 연구서 ‘덧칠된 기록에서 찾은 이름들’을 발간했다.

이번 연구서는 일본군‘위안부’ 동원 사실을 밝힌 다양한 명부 분석 연구를 집대성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2018년 8월 여성가족부 산하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 설치된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가 중국을 비롯해 인도네시아, 타이완 등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된 다양한 명부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기존 발굴 자료들과 대조해 조사‧연구를 통해 발간한 성과이다.

새롭게 수집한 △일본군 작성 ‘유수명부’ △타이완척식주식회사가 위안소 운영과정에서 작성한 ‘위안부’ 관련명부 △인도네시아 팔렘방의 조선인들이 작성한 ‘팔렘방조선인회명부’ △중국 진화지역 조선인동향회가 작성한 ‘진화계림회명부’에서 일본군‘위안부’ 동원 실상을 추적했다.

그동안 일본군 작성 공문서에서 일본군‘위안부’실태를 확인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이름과 나이, 출신지 자료가 드물었다. 연구서는 다양한 명부 속 잊혀진 ‘위안부’피해자의 기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서 내용 중 일본군 귀환기록과 ‘유수명부’를 통해 확인한 ‘위안부’피해자 기록은 유수명부 자체가 일제 말 일본 육군소속 군인군속을 기록하는 기본명부란 점에서 일본군 소관으로 관리했음을 스스로 인정한 기록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번 연구서 발간에는 강정숙 성균관대 동아시아연구소 책임연구원, 윤명숙 일본군‘위안부’연구소 팀장, 한혜인 동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전임연구원 등 국내 전문학자뿐 아니라 중국에서 널리 알려진 학자인 쑤즈량蘇智良, 천리페이陳麗菲 등도 참여했다.

여성가족부 황윤정 권익증진국장은 “이번 연구서가 일본군‘위안부’동원과 실태 연구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사업을 통해 체계적인 조사연구, 기록 관리로 일본군‘위안부’피해자의 존엄을 보장하고 명예를 회복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