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원인이 원하는 서류를 인공지능에게 말하면 본인식별절차를 거쳐 자동으로 관련서식을 완성해주고, 사람의 동작(수화)을 인식하여 수화로 답하는 스마트거울 등 최첨단 행정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첨단 정보기술 활용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으로 올해 4개 사업을 선정해 총 46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제주도의 인공지능 기반 행정서식 작성 도우미 서비스 개념도. [사진=행정안전부]
제주도의 인공지능 기반 행정서식 작성 도우미 서비스 개념도. [사진=행정안전부]

지난해 10월 두 차례 해커톤(끝장토론회)와 민간 전문가 토론, 사업선정위원회 검토를 통해 선정된 사업은 ▲제주도의 인공지능 기반 행정서식 작성 도우미 서비스 ▲대전시 스마트 미러 활용 민원안내 서비스 ▲경기도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글라스 활용 원격 안전점검 서비스 ▲서울 성동구와 경기도 부천시 지능형 스마트 선별과제 서비스 확산 등 이다.

제주도와 대전시, 경기도의 경우 신규 사업으로 사업당 8~10억 원을 지원받으며, 성동구와 부천시 지능형 스마트 선별과제 서비스는 2018년 화성시에 이어 진행되는 확산사업으로 5~7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는다.

제주도 인공지능 기반 행정서식 작성 도우미 서비스는 어르신과 장애인, 외국인 등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서비스이다. 올해 아동수당지급신청서 등 많이 발급받는 30여 종 민원서류를 선정해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대전시 스마트 미러 활용 민원안내서비스는 장애인을 위한 행정서비스로, 수화 동작을 인식하고 수화로 답하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안내도 가능하다.

경기도의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글라스 활용 원격 안전점검서비스의 경우, 안전요원이 동영상 전송과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글라스(안경)를 쓰고 현장 점검을 하면 동시에 전문가가 참여한 영상회의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제주도, 대전시, 경기도 3개 지자체와 함께 4월 중 사업자 선정을 완료하고 11월 말까지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11월부터 각 시스템별 시범사업을 실시해 만족스러운 성과가 나오면 내년에 전국으로 확산예정이다.

이외에 서울 성동구와 경기 부천시로 확산하는 지능형 스마트 선별관제서비스는 인공지능이 미리 입력된 동작을 인식해 관제요원에게 경고해 주는 서비스로 범죄와 사고예방에 효과적인 것을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