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여성임금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은 210만 원으로 남성의 63%수준으로 2014년부터 변화 없이 63~64%를 유지한다. 월 평균 147만 원 미만으로 받는 저임금 노동자의 경우 여성은 27.5%이고 남성은 9.3%로 여성이 3배 정도 높았다.

'2019 성인지 통계-통계로 보는 서울 여성'에 나타난 서울 임금노동자의 성별 임금격차. [사진=서울시]
'2019 성인지 통계-통계로 보는 서울 여성'에 나타난 서울 임금노동자의 성별 임금격차. [사진=서울시]

서울시가 서울시 거주 여성과 남성의 생활실태를 종합 분석한 ‘2019년 성性인지 통계-통계로 보는 서울 여성’이 발간되었다. 인구와 가족, 보육, 교육, 경제활동, 건강 및 환경, 복지, 정치 및 사회참여, 문화 및 정보, 안전 10개 부문, 45개 영역, 424개 통계지표를 통해 사회의 여러 측면에서 성별로 불평등한 현상을 분석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2018년 15세 이상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54.1%로, 남성 71.9%와 큰 차이를 나타낸다. 임시일용노동자 비율은 2014년 이후 남녀 모두 감소세이나 여성이 40.6%로 2017년과 동일하고, 남성은 29%로 27.3%로 감소했다.

노동여건 중 일‧생활균형 만족도 응답 분포는 남녀가 대체로 비슷하고, 맞벌이 부부의 경우 가사분담을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답변했으나 실제로는 주로 여성이 책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남성 육아휴직 수급자 비율은 12.8%로, 2017년 9%에서 3.8%p 증가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수급 여성은 2017년 1,459명에서 2018년 1,703명으로 증가했다.

여성은 54.5%, 남성은 52.6%가 10년 전에 비해 사회 위험이 더 커졌다고 인식했고, 사회 안전의 가장 큰 불안요인으로 여성은 범죄, 남성은 환경오염을 꼽았다.

사회참여 부문에서는 2018년 6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여성투표율은 60.3%, 남성은 59.2%였다. 여성 당선인 비율은 2014년 지방선거에 비해 기초의원은 7.1%p, 광역의원은 2.4%p 늘었고, 구청장은 4%p 줄었다.

서울시 본청 위원회 위촉직 여성위원 참여율은 평균 44.9%로, 서울시 5급 이상 여성공무원 비율은 2017년 21.8%에서 2018년 23.2%로 상승했다.

‘2019년 성인지 통계’는 책자로 발간되어 지자체, 시립도서관, 대학교 등에 배포하며, 서울시 누리집 정보소통광장(http://opengov.seoul..go.kr/analysis)에서 PDF파일로 내려받을 수 있다.

서울시 윤희천 여성정책담당관은 “성인지 통계는 여성과 남성이 처한 개인적, 사회적 상황 차이를 통계를 통해 제시함으로써 이를 해소하는 기초자료”라며 “성별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 각 부문별 맞춤정책을 수립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