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급식과 이유식, 외국 요리에 많이 사용하는 양송이의 국산품종 개발을 시작한 것은 2010년이다. 국내에서는 미국A15 품종을 많이 재배해 당시 4%에 머물던 국산 양송이 보급률이 2018년 65.1%로 16배 올라 외국 품종을 역전했다.

(시계방향으로) 국산품종 양송이 하담, 새도, 도담, 새한. [사진=농촌진흥청]
(시계방향으로) 국산품종 양송이 하담, 새도, 도담, 새한. [사진=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은 고온에 강한 품종을 추가 보급해 2020년 보급률을 70%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지금까지 개발한 품종은 중고온성 ‘새도’와 ‘새한’, 중온성 ‘도담’ 등 8품종이었다.

2019년 고온에 강한 ‘하담’품종을 새로 개발해 앞으로 총 9품종을 농가에 보급하게 된다. 하담 품종은 일반적 양송이 생육온도인 16±2도보다 2~4도 높은 20도 내외에서도 잘 자라며, 버섯이 단단하고 갓의 벌어짐이 적고 형태가 뛰어나다.

봄과 가을에는 생육온도가 13~20도인 중고온성 ‘새도’와 ‘새한’품종이 있다. 특히 ‘새한’은 2013년 육성하여 국내에서 유일하게 완성형 배지에 들어간다. 보통 배지를 구매하거나 제조해 따로 종균을 접종하는데, 완성형 배지는 종균이 배지에 접종되어 판매된다. 재배가 쉽고 갓 색이 우수해 국산 양송이 품종의 65%를 차지한다.

겨울철에는 13도~18도에서 생육하는 중온성인 ‘도담’이 재배에 적합하다. 기존 품종보다 단단하고 재배 후기에도 갓 색이 누렇게 변하는 기존 품종과 달리 흰색을 유지해 농가에서 선호한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지속적으로 농가와 소비자 트렌드를 반영한 품종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