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외상으로 사망한 환자 사례 조사연구 결과, 2017년도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이 19.9%로 크게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2015년 30.5%에 비해 2년 만에 10.6%p가 감소한 것이다. 미국 등 선진국의 경우, ‘예방 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약 15% 내외이다.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은 외상으로 인해 사망한 환자 중 적절한 시간내,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돼, 적절한 치료를 받았다면 생존할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사망자의 비율로, 핵심적인 외상진료체계 성과지표이다. 해당 조사연구(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윤 책임연구원)는 2015년에 전국단위로 처음 연구되어 2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다.

전국 권역 외상센터 17개소 분포도. [사진=보건복지부]
전국 권역 외상센터 17개소 분포도. [사진=보건복지부]

연구는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눠 2017년 중앙의료센터의 국가응급진료정보망에 등록된 외상으로 인산 사망자 중 1,232명을 표본 추출해 분석했다. 모든 권역에서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이 낮아졌는데, 그중 광주와 전라, 제주 권역은 2015년 40.7%에서 2017년 25.9%로 14.8%가 낮아졌다.

전국적으로 획기적인 개선의 요인으로는 중증 외상환자 치료에 특화된 권역외상센터의 개소와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 2가지로 분석되었다. 권역외상센터는 2014년 3개소가 개소했고, 2019년까지 총 14개가 운영되며 3개 외상센터가 개소 준비 단계이다.

정부는 권역외상센터가 조속하게 제도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전담인력 인건비 등 운영비 지원, 외상수가 신설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 중이다. 권역응급의료센터는 20개에서 41개소로 확충되고, 진료역량이 높은 권역외상센터와 권역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비율이 2배 이상 높아져 적정 이송 증가도 개선 요인으로 밝혔다.

다만, 타 지역에 비해 의료자원이 많고 의료접근성이 높은 서울권역은 2015년 30.8%에서 30.2%로 감소 폭이 적었다. 이에 연구자들은 서울시에 중증 외상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적정규모의 외상센터가 운영되지 않은 점을 주요원인으로 꼽았다.

보건복지부 윤태호 공공보건정책관은 “의료자원이 부족한 지역도 필요자원을 집중지원, 육성하고 지역 내 협력체계를 갖추면 양질의 의료기반 구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서울시와 협력해 조속한 시일 내 서울지역 외상진료 기반도 확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