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북공정 극복을 위한 학술대회가 열린다.

동북아고대역사학회(회장 정경희)는 오는 11월 23일(토)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홍산문화 적석총의 기원과 중국 ‘요하문명-장백산문화론’ 극복”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홍산문화 우하량 2지점 적석제단. 동북아고대역사학회는 오는 11월 23일(토)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홍산문화 적석총의 기원과 중국 ‘요하문명-장백산문화론’ 극복”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사진=동북아고대역사학회]
홍산문화 우하량 2지점 적석제단. 동북아고대역사학회는 오는 11월 23일(토)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홍산문화 적석총의 기원과 중국 ‘요하문명-장백산문화론’ 극복”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사진=동북아고대역사학회]

이날 학술대회에서는 한국항공대 우실하 교수, 단국대 오대양 교수,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정경희 교수가 발표자로 나서 현재 동북공정에 관한 한국학계의 대응을 점검한다. 이 학술대회는 동북아고대역사학회가 주최하고 (재)롯데장학재단, (사)국학원이 후원한다.

중국이 진행한 동북공정의 시작점이 홍산문화이기에 동북공정에 대한 한국 측의 대응 또한 홍산문화 연구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다. 특히 중국 측의 홍산문화에 관한 이해가 홍산문화의 대표 유적인 ‘제단(단) · 사당(묘) · 무덤(총)’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 측의 대응 논리 또한 이 부분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홍산문화의 단·묘·총 중에서도 특히 단·총, 즉 ‘적석 단·총’ 분야를 중심으로 현재 한국 측 대응을 검토한다. 홍산문화 적석 단총의 기원, 주변지역 적석 단총과의 상관관계, 후대 계승 관계 등 계통성 문제에 관해 한국 측의 유의미한 연구 성과를 제시할 예정이다.

우실하 교수는 홍산문화 적석 단총의 기원을 요서지역으로 보고 이 전통이 특정 중국지역으로 계승되기보다는 동아시아 전역으로 계승되었다는 견해를 제시한다. 오대양 교수는 홍산문화를 비롯한 요서지역 적석 단총과 요동·한반도지역 적석 단총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발표한다.

정경희 교수는 홍산문화 적석 단총의 기원을 요서가 아닌 요동 백두산 서편지역으로 보고 요동·요서·한반도를 한국계 적석 단총문화권으로 바라본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동북아고대역사학회는 23일 학술대회에서 홍산문화의 단·묘·총 중에서도 특히 단·총, 즉 ‘적석 단·총’ 분야를 중심으로 현재 한국 측 대응을 검토한다. [포스터=동북아고대역사학회]
동북아고대역사학회는 23일 학술대회에서 홍산문화의 단·묘·총 중에서도 특히 단·총, 즉 ‘적석 단·총’ 분야를 중심으로 현재 한국 측 대응을 검토한다. [포스터=동북아고대역사학회]

이번 학술대회는 그간 동북공정 극복을 위한 한국학계의 업적을 살펴보고 향후 더 발전된 연구를 위해 마련한 것이다.

1980년대 이후 중국은 동북공정 요하문명론을 통해 고대 한민족의 역사를 중국사로 바꾸고 한국사를 말살해가고 있다. 요하문명론은 애초 중원이나 요서 지역에 관한 이론으로 출발하였으나 점차 요하문명의 동쪽, 곧 요동·한반도 지역으로도 확대되었고 이 과정에서 요하문명의 동진 이론으로서 장백산문화론이 등장하였다. 동북공정의 양대 축인 ‘요하문명론-장백산문화론’의 중심은 요서지역의 대표적인 고고문화인 홍산문화(기원전 4500년~기원전 3000년)이다.

중국은 홍산문화의 연구·해석에 동북공정의 시각을 들이대어 이제 이론정립 단계를 지나 실제 유물과 유적에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 세계에 홍보하는 추세이다. 이대로 방치한다면 한국사는 은나라 유민인 기자조선에서 시작된 중국 지방사의 일종으로 전락한다.

동북아고대역사학회는 “이러한 중국의 움직임을 볼 때 한국학계의 대응과 입장 표명이 더 이상 늦출 수 없게 되었다.”며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학계에서 동북공정 극복을 위한 다양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지는 계기가 되기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