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안스피릿은 올해 삼일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대일항쟁기 독립운동에 헌신한 독립운동가 10명을 선정했다. 코리안스피릿이 선정한 독립운동가는 석주 이상룡(1858-1932), 홍암 나철(1863-1916), 우당 이회영(1867-1932), 홍범도 장군(1868-1943), 남자현 여사(1872-1933), 주시경(1876-1914), 단재 신채호(1880-1936), 서일(1881-1921), 김좌진 장군(1889-1930), 이봉창 의사(1901-1932)이다.

6월에 소개한 독립군의 어머니 남자현(南慈賢, 1872.12. 07.~1933. 08. 22.) 여사에 이어 주시경(1876~1914)선생을 국가보훈처의 공훈록 등 자료를 기초로 소개한다.

주시경 선생은 1876년 11월 7일 황해도 봉산군 쌍산면 천산리 무릉골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학원(鶴苑), 모친은 연안 이씨로 선생은 이들 사이의 4남 2녀 가운데 둘째 아들이었다. 본관은 상주(尙州),어릴 때의 이름은 상호(商鎬), 호는 한힌샘, 한흰메, 백천(白泉), 태백산(太白山) 등이 있다. 선생은 조선 중기 풍기군수로서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을 세운 주세붕의 13대손이었다. 부친 또한 학문을 하여 구암집을 내기도 한 시골 선비였다.

가정 형편이 매우 어려웠다. 선생이 어렸을 적에는 "어머니와 누나가 산나물과 도라지를 캐어다가 죽을 쑤어 형제들의 나이 차례로 나누어 먹으며 가까스로 목숨을 이어갈" 정도였다.

선생은 어려서부터 부친과 서당에서 천자문(千字文)을 익히는 등 한학을 공부했다. 선생이 본격적으로 학문을 익히게 된 것은 중부(仲父) 학만(鶴萬)씨의 양자가 되어 1887년 서울로 오면서부터다. 남대문 시장에서 객주업으로 재산을 모은 양부 후원으로 선생은 이회종 진사 서당에서 약 4년간 한학을 배우며 인격을 도야하였다.

이때 한문을 배우면서 선생은 한문에 회의를 느끼고 우리말과 글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서당에서 한문을 배울 때 선생이 한문을 한문음대로 한 번 읽어 주는데, 이때 아이들은 하나도 알아듣지를 못해서 멍하니 그대로 앉아 있다가 다음에 선생이 우리말로 새겨주어야 비로소 고개를 끄떡끄떡했다. 이같이 우리말로 하면 바로 알아들을 수 있는 것을 왜 하필 어려운 한문음을, 그것도 알아듣지도 못하는 것을 왜 헛되이 되풀이하는가 하고 의심을 품게 되었고, 또 우리글이 있는데 왜 이토록 어려운 한문만을 배워야 하며, 우리말을 쉽게 적을 있는 우리글은 왜 쓰지 않나 하고 골똘하게 생각하기 시작한 것이 선생이 한글을 연구하게 된 동기가 되었다.

선생은 한문을 배우면서 우리말과 글에 관심을 가졌고, 나아가 한글 연구를 결심하게 되었다. 선생은 1893년 6월 배재학당의 교사인 박세양과 정인덕을 찾아가 야학으로 신학문을 지도 받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들로부터 문명 강대국은 모두 자기 나라의 문자를 사용한다는 말을 듣고, 선생은 자국어 중요성을 다시금 깨닫게 되었다. 이때부터 선생은 우리말과 글을 연구하면서 국어문법을 저술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선생은 1894년 배재학당에 정식으로 입학하였고, 이듬해 7월에는 관립 이운학교에 입학하였다. 졸업 후 선생은 마산항지사장으로 임명됐지만, 곧이어 2월 11일 아관파천으로 갑오내각이 붕괴됨에 따라 사퇴하였다. 사퇴 후 선생은 그 해 4월 배재학당의 만국지지역사특별과에 재입학하였다. 여기에서 선생은 서재필을 만나게 된다. 1895년 12월 26일 갑오내각의 주선으로 귀국한 서재필은 이때 ‘독립신문’의 창간을 준비하면서 배재학당의 만국지지학 강사로 출강하고 있었다.

1896년 4월 7일 서재필(徐載弼)을 중심으로 『독립신문』을 창간하게 되자, 총무 겸 교보원으로 창간에 참여하고 국문판 조필(助筆)이 되었다.

서재필과 함께 독립신문을 우리나라 처음으로, ①국문전용 ②국문 띄어쓰기 ③쉬운 국어쓰기의 방법으로 발행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또한 독립신문의 창간과 함께 독립신문사 내에 국어국문 연구단체인 국문동식회(國文同式會)를 조직하여 본격적인 국문연구를 공동으로 추진하였다. 이것이 한국 최초의 국문 연구단체이다. 국문동식회는 그후 국문연구회를 거쳐 대일항쟁기에 조선어연구회로 발전했다가 조선어학회로 개칭되기에 이르렀다.

1896년 11월 30일 배재학당 안에 협성회(協成會)가 창립되자 이에 가입하여 『협성회회보』 편집위원으로 활약하였다. 1896년 7월 2일 독립협회가 창립되자 이에 가입하여, 1897년 12월 5일에는 22세의 청년의 나이로 독립협회의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1898년 11월 17명의 독립협회 지도자들이 체포된 뒤 자발적으로 조직되어 전개된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에서는 양기탁(梁起鐸) 이동녕(李東寧) 등과 함께 청년지도자로 참가하여 격렬한 자주민권 자강운동을 전개하였다.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운동이 강제 해산되고, 그 지도자들에 대한 체포가 시작됨에 따라 선생은 향리로 피신하여 은신하게 되었다. 향리에 은신하면서도 선생은 한글 연구의 끈을 놓지 않았다. 그리하여 이 때 그간 5년 동안의 연구를 정리한 『국어문법』을 완성하였다. 이듬해 다시 상경한 선생은 이후 을사조약이 체결되기까지 5년여 동안 한글의 연구와 교육, 그리고 국문 연구의 과학화를 위한 개인 학습에 온 힘을 쏟았다. 정동에 와 있던 미국 감리교의 의료선교사인 윌리엄 스크랜튼(William B. Scranton)으로부터는 영어와 자연과학의 이치를 배웠고, 수진동의 흥화학교에 입학해서는 측량술과 도해법을 익혔다. 그리고 한성외국어학교에서 일어·청국어 등을 청강하고, 습득한 지식을 응용하면서 한글 연구를 심화시켜 갔다.

1905년 11월 소위 ‘을사조약’에 의하여 국권을 빼앗기게 되자 국민이 분발하여 국권회복을 위한 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선생은 나라가 식민지로 떨어지기 전에 국어문법을 확립하여 보급해야 함을 절감하고 국어국문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연구결과를 저서로 발간하였다. 선생은 1906년에 『대한국어문법』을 발간하고, 1908년에 『국어문전음학(國語文典音學)』을 발간하였다. 1907년 1월에 지석영(池錫永)이 의학교 안에 국어연구회를 설립할 때 이준(李儁)이 연구위원으로 추천하여 연구에 종사하였다. 또한 주시경이 정부에 제출한 상소가 채택되어 1907년 7월 8일 학부 안에 국문연구소가 설치되자 연구위원이 되어 『국문연구안(國文硏究案)』을 제출하였는데, 가장 뛰어난 연구보고서이다.

1909년에는 전 국민에게 국문을 교육하기 위한 교과서로 『국문초학』을 간행하고, 1910년 4월에는 『국어문법(國語文法)』을 간행하였다. 1910년 경국국치가 일어나자 그해 10월 우리나라 고전을 간행 보급하기 위하여 광문회(光文會)에 가입해서 『훈몽자회(訓蒙字會)』 등의 고전을 교정하여 『훈몽자회재간례(訓蒙字會再刊例)』를 간행하였다. 이와 함께 『국어사전(國語辭典:말모이)』의 편찬에 최초로 착수하였다.

1914년에는 『말의 소리』를 간행하여 국어음운학의 과학적 기초를 확립하였다. 선생의 이러한 선각적 국어국문 연구로 우리나라의 언어와 한글이 재발견되어 애국계몽운동기에 과학적 국어문법이 처음으로 확립되게 되었다.

선생은 국어국문 연구뿐만 아니라 애국계몽운동에 직접 뛰어들어 활동하기도 하였다. 그는 서우학회(西友學會)의 협찬원으로서, 그리고 대한협회(大韓協會)의 교육위원으로서 애국계몽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서우(西友)』 등을 비롯한 애국계몽잡지에 국민의 분발을 촉구하는 애국논설들을 발표하여 국민을 계몽하였다. 선생은 여성계몽을 위하여 신채호(申采浩)와 함께 『가뎡잡지』를 편집하기도 했다. 또한 1907년에는 양계초(梁啓超)의 『월남망국사(越南亡國史)』를 순국문으로 번역하여 『월남망국사』를 간행해서 프랑스의 식민지통치에서 압박 받는 월남의 실태를 국민에게 알림으로써, 국민의 민족적 자각과 애국적 분발을 불러 일으켜 국권회복에 나설 것을 촉구하였다. 이 시기에 특히 한문을 모르는 일반민중과 부녀층 속으로 파고 들어가서 그들이 읽을 수 있도록 ‘국문(한글)’을 전용하면서, 국민에게 나라사랑과 함께 국어와 한글에 대한 사랑을 일깨우고 국권회복을 위한 민족의 각성과 분발을 계몽하였다. 특히 선생은 기독교에서 대종교로 개종하며 국권회복운동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경주하기도 하였다.

선생의 애국계몽운동 중에서 가장 열정을 많이 쏟은 부분이 국어교육이었다. 선생은 나라가 식민지로 떨어지기 전에 국민에게 ‘국어’교육을 철저히 하고, ‘국어’를 갈고 닦고 지키려는 운동을 전개해 놓지 않으면 일제에 의하여 국어와 국문이 말살될 위험에 놓이게 되며, 국어와 국문을 잃으면 국권을 회복할 수 없고 반면에 국어와 국문을 굳게 지키고 발전시키는 투쟁을 전개하면 독립의 열쇠를 가진 것과 마찬가지여서 반드시 독립을 쟁취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국어교육에 전념하였다.

선생은 1906년부터 1910년까지 서울시내의 18개 중학교에서 주 평균 40여 시간씩 국어강의를 하였다. 한 학교에서의 강의가 아니라 서울 시내에 흩어져 있는 여러 학교를 돌아다니며 한 강의였기 때문에 점심식사시간을 내지 못하여 굶으면서 이 일을 담당하였다. 그리하여 '앉을 자리가 따뜻해질 겨를이 없을 만큼' 분주하게 강의할 책을 큰 보자기에 싸서 이 학교 저 학교로 다녔기 때문에, 선생은 '주보따리'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 또한 여름방학에는 상동의 청년학원(靑年學院)에 ‘하기국어강습소(夏期國語講習所)’를 설립하여 청소년들을 모아서 무료로 국어국문을 교육하였다. 이 하기국어강습소의 강의는 국어국문의 과목을 ①음학(音學) ②자분학(字分學) ③격분학(格分學) ④도해학(圖解學) ⑤(變體學) ⑥실용연습의 6과로 나눈 본격적 강의였다. 이것이 얼마나 전문 강의였는가는 제1분과의 강의안이 『국어문전음학(國語文典音學)』이라는 저서로 간행된 것에서도 알 수 있다.

또한, 일요일에는 보성학교 안에 ‘조선어강습원(朝鮮語講習院)’을 설립하여 일요일마다 서울 시내의 청년학생들에게 국어국문의 무료강의를 하였다. 조선어강습원의 수강생은 자발적으로 모인 애국청년학생들이 많아 특히 효과가 매우 컸다. 1908년에는 제자들과 함께 국어연구회(國語硏究會)를 조직하여 국어연구를 통한 국권회복을 다짐했는데, 이는 대일항쟁기 조선어연구회로 발전했다가 조선어학회로 개칭되었다.

선생은 1911년부터 박동의 보성중학교에 조선어강습원을 열어 후학을 양성하였고, 그 밖에도 여러 학교에 출강하면서 국어 교육을 민족의식을 고취하여 갔다. 나라를 잃었는데 언어까지 잃게 되면 민족 정체성을 상실함은 물론, 영원히 독립을 쟁취할 수 없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자각한 선생은 더욱더 한글의 연구와 교육에 매진함으로써 독립 쟁취의 기초를 닦아 갔다. 경술국치 이후에도 『국어사전』 편찬 작업에 착수하고, 또 1914년에 『말의 소리』를 간행하여 국어음운학의 과학적 기초를 확립한 것 등은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그러던 중 몸도 돌보지 않는 한글 연구와 강의로 말미암아 안타깝게도 선생은 1914년 7월 27일 서울 수창동 자택에서 38세의 젊은 나이로 급사하고 말았다.

민족어와 한글에 관한 과학적 연구가 모두 선생의 국어 국문 연구 작업의 토대 위에서 진전된 것을 고려하면 선생이 한국민족에 바친 공헌은 참으로 크다. 정부는 선생이 평생을 바쳐 한 국어국문의 과학적 연구와 교육이 민족의 독립과 발전에 끼친 공훈을 기리어 1980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