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9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주력 제조업의 혁신과 신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 모두 발언에서 “우리 경제가 산업 활동 측면에서는 생산, 소비, 투자가 모두 증가했고, 경제심리 지표들도 나아졌다”며 “벤처투자와 신설 법인수도 꾸준하게 증가하고, 2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26만3천 명이 증가해서 작년 1월 이후 가장 많이 늘었다. 물가도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고 국가부도 위험을 나타내는 CDS 프리미엄 지수도 11년3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국가경제는 견실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주력 제조업의 혁신과 신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출처=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주력 제조업의 혁신과 신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출처=청와대]

 

문 대통령은 “그러나 국가경제의 근간인 제조업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며 “정부가 그간 여러 차례에 걸쳐 제조업 대책을 마련했고, 스마트 공장과 규제샌드박스를 비롯한 다양한 정책 수단을 동원해 제조업 혁신을 지원하고 있지만 아직 현장의 체감도는 낮다. 특히 전통 주력 제조 분야의 고용 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점이 우리 경제의 가장 어려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제조업의 경쟁력이 낮아지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며 “제조업의 활력을 살리는 것이 우리 경제를 살리는 길이다. 제조업의 활력을 위해 정부가 전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주력 제조업의 경우 지난해 내놓은 분야별 대책이 제대로 잘 돌아가고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며 문 대통령은 “조선업은 작년에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되찾았고, 올 2월에는 전세계 선박발주의 81%를 수주하는 등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며 “선박 수주의 회복이 고용의 빠른 회복으로 연결되도록 지원하고, 여전히 수주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조선 업체에 대한 지원도 더욱 적극적으로 강구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로 고용의 불안을 야기하는 일이 없도록 확실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언급했다.

자동차 산업과 관련하여 문 대통령은 “전기차, 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의 보급을 더욱 속도 있게 추진하고 지난 연말 발표한 자동차 부품 산업 대책도 신속하게 시행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메모리 반도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취약한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의 경쟁력을 높여 메모리 반도체 편중 현상을 완화하는 방안도 신속히 마련하라고 말했다.

또 주력 제조업의 혁신과 함께 신산업의 육성도 속도를 내야 한다며 문 대통령은 “로봇, 바이오․헬스, 소재․부품․장비, 5G 기반 산업 등 미래 제조업 발전 전략을 조속히 노력하여 전통 주력 제조업의 혁신과 신산업의 발전이 균형 있게 이뤄지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최근 동남아 3개국 순방과 관련하여 문 대통령은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모두 신남방정책의 중요한 협력 파트너들이다”며 “아세안은 세계 어느 지역보다 성장이 빠르고, 앞으로의 성장 잠재력도 매우 크다. 그런 면에서 아세안은 우리의 미래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아세안과 함께 아시아의 평화와 공동번영의 미래를 열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문 대통령은 “아세안 국가들도 우리의 신남방정책을 적극 지지하면서 협력 확대를 희망하고 있다. 이번에 방문한 3개국 모두 우리의 신남방정책과 각국의 국가발전 전략을 접목시키는 데 매우 적극적이었다”며 “이번 순방이 우리 기업들의 활동무대를 넓히고, 교역시장을 다변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아세안의 확고한 지지와 협력 의지도 재확인했다”며 “아세안 국가들은 북한과 오랜 기간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우리의 노력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평화 번영의 한반도와 신경제지도는 신남방정책, 신북방정책과 함께 완성된다. 관계 부처는 이번 순방 성과를 바탕으로 내실 있는 구체사업을 발굴하고, 실질 성과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해 주기 바란다.” 며 “특히 올해 11월 한국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또 처음 정상회의로 승격된 ‘한-메콩 정상회의’가 신남방정책을 강화하고, 아세안 및 메콩 국가들과의 관계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빈틈없이 준비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