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청장 민갑룡)과 소방청(청장 정문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범죄·재난 상황에서 구조 요청자의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 다부처 협력사업인 ‘긴급구조용 지능형 정밀 위치 측정 기술개발’을 시작한다.

경찰청과 소방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범죄·재난 상황에서 구조 요청자의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 다부처 협력사업인 ‘긴급구조용 지능형 정밀 위치 측정 기술개발’을 시작한다.[사진=경찰청]
경찰청과 소방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범죄·재난 상황에서 구조 요청자의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 다부처 협력사업인 ‘긴급구조용 지능형 정밀 위치 측정 기술개발’을 시작한다.[사진=경찰청]

 

 


그동안 긴급한 범죄·재난 상황에서 경찰·소방인력이 신속하게 현장으로 출동했으나, 구조 요청자의 위치 파악이 부정확하여 구조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사례가 있었다. 112 또는 119로 구조를 요청할 경우 긴급 구조시스템을 통해 파악된 구조요청자의 위치 값은 실제 위치와 오차범위 500m 이상 차이가 발생한다. 실내에 있는 구조요청자의 위치 측정 정확성은 더욱 미흡한 것이 현장의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어왔다.

범죄·재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 및 재산 보호와 직결되는 정밀 측위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찰청과 과기정통부, 소방청은 지난해, 다부처 협력 연구개발 사업으로 기획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간, 총 200억 원을 투입하여 연구개발과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경찰청은 전국 단위의 긴급구조용 지능형 위치정보 제공을 위한 측위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과기정통부에 제공하고, 현장에서 LTE 신호세기 및 시간지연정보로 실제 거리를 측정하는 정밀측위 기술을 개발한다. 또한, 112 신고 시스템과 연계한 실증 실험도 추진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기존 2차원(평면) 위치정보만 나타내는 기술을 3차원(높이) 위치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정밀측위 핵심기술을 개발하여 실외는 물론 실내 위치 정밀도까지 높여 위치 정확도를 50m 이내로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그동안 긴급구조 측위가 안 되는 단말기(알뜰폰, 자급제폰, 키즈폰, 유심이동폰 등)도 측위가 가능하도록 연동표준을 개발하여 긴급구조 측위 사각지대를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

소방청은 화재 등으로 재난현장 건물 내 기존 무선통신 인프라(Wi-Fi, 비콘 등) 활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소방용 전용 단말기를 통해 자체적으로 소방대원과 실내 요구조자의 측위 정보를 확보하는 기술 개발 및 119 신고 시스템과 연계한 실증 실험을 추진한다.

한편, 이번 사업은 다부처 간 원활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R&D전문기관인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참여하는 사업추진 협의체를 구성하여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의 주요 사항을 긴밀히 협의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이번 ‘긴급구조 골든타임 확보’ 사업이 수요자가 직접 참여하여 현장문제를 해결하는 ‘리빙랩(Living Lab)’ 방식으로 진행됨에 따라 연구성과물의 완성도와 현장 활용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며 “정보통신 기술이 공공안전 및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여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