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학생독립운동 참여자 발굴 위해 ‘항일학생운동 참여 학교 학적(제적)부’를 모두 조사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독립유공자 포상 심사기준'에 대일항쟁기 독립운동에 참여한 학생이 퇴학을 당한 경우가 새롭게 포함되어, 전수조사를 하는 것이다.    

전수조사 대상은 학생독립운동에 참여한 남한지역 166개 학교 중 학적부가 남아 있는 55개 학교이다. 학생독립운동이 일회성에 그치거나 소규모로 전개된 학교, 연혁을 확인할 수 없는 72개 학교는 이번 조사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전쟁과 화재로 인해 자료가 소실된 39개교도 조사하지 않는다. 

국가보훈처는 국가기록원이 학적부를 보관 중인 있는 22개교를 먼저 조사하고, 학교 자체에 학적부를 보관 중인 33개교는 직접 방문조사할 예정이다.  

국가보훈처는 학생독립운동 참여 166개교 중 학적부가 보존된 55개교를 대상으로 독립유공자 조사를 실시한다. 사진은 국가기록원에 보관 중인 학적부. [사진=국가기록원]
국가보훈처는 학생독립운동 참여 166개교 중 학적부가 보존된 55개교를 대상으로 독립유공자 조사를 실시한다. 사진은 국가기록원에 보관 중인 학적부. [사진=국가기록원]

국가기록원에 학적부가 남아있는 22개 학교 중 2018년 11월말 현재 확인된 독립운동 관련 처벌자는 400여명이고, 이 중 85명은 퇴학 처분을 받았다.

학적(제적)부에는 3·1운동, 광주학생항일운동, 동맹휴학 등 구체적인 처벌사유와 징계내용을 명확히 기재되어 있어 학생 개개인의 항일 독립운동 참여사항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대일항쟁기 항일학생운동은 1919년 3.1운동을 시작으로 1920년대 후반 광주학생운동, 1930년대 써클 활동과 동맹휴학, 1940년대 일본군 징집거부 등 다양한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전수조사 결과 확인된 학생운동 계열 독립유공자는 2019년 3.1운동 100주년, 항일학생운동 90주년 포상에 반영할 계획이다. 

보훈처는 학적부를 자체 보관중인 학교들도 학생운동이 시작된 광주지역부터 서울, 경남 순으로 해당학교를 방문하여 조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