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제89주년을 맞는 학생독립운동기념식이 처음으로 정부행사로 격상돼 광주광역시에서 개최된다.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3·1운동 및 6·10만세운동과 함께 3대 독립운동으로 평가받는 ‘학생독립운동’의 중요성과 의미를 국민에게 더욱 폭넓게 알리기 위해 학생독립운동 기념행사를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변경, 첫 정부행사로 격상해 11월 3일 광주광역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거행한다.

학생독립운동 기념식은 당초 교육부 주관으로 지방교육청에서 시행하는 행사였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8월 보훈처 업무보고 당시 학생독립운동 기념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심을 당부했다. 이에 국가보훈처는 교육부와 협의를 거쳐 앞으로 정부기념식은 보훈처가, 관련 계기행사는 교육부가 각각 주관해 진행하기로 했다.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에 설치된 학생독립운동기념탑. [사진제공=광주학생운동독립기념관]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에 설치된 학생독립운동기념탑. [사진제공=광주학생운동독립기념관]

첫 정부행사로 치러지는 이번 기념식은 국가 주요 인사를 비롯해 각계대표, 학생, 시민 등 3,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다. 특히, 행사 사회를 비롯해 연극과 토론 등에 당시 학생독립운동에 동참했던 학교의 후배 학생들이 직접 참여함으로써 학생이 만들고 학생이 주인공이 되는 기념식으로 열린다.

또한, 이번 기념식에서는 후손이 확인된 세 사람에게 포상을 전수하는 등 정부기념식의 격에 맞게 다채롭게 진행할 예정이다.

학생독립운동은 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 시작되어 이듬해 3월까지 전국에서 벌어진 학생들의 시위운동이다. 1929년 10월 30일 광주에서 나주로 가는 통학열차 안에서 일어난 광주고등보통학교(현 광주제일고) 학생들과 일본인 학교인 광주중학생들의 충돌이 도화선이 되어 1929년 11월 3일 일왕 메이지 생일인 명치절 행사에 참여한 학생들이 행사 이후 광주 시내에서 항의시위를 벌였다.

학생들의 시위 소식이 전해지자 서울, 개성, 부산, 진주, 청주, 공주, 대전, 홍성, 예산, 조치원, 부여, 전주, 정읍, 고창, 이리, 평양, 신의주, 정주, 선천, 영변, 함흥, 원산, 경성, 대구, 춘천 등에서 동맹휴교나 시위운동이 일어났다.

전국 곳곳에서 시위나 동맹휴학 등의 형태로 계속되어, 전국적으로 300여 개 학교가 참가하였고 참가 학생 수는 54,000여 명이었다. 일제는 퇴학 582명, 무기정학 2,330명, 강제전학 298명 등으로 탄압하고, 1,600여 명을 체포하여 광주에서 170여 명 실형을 살았다. 또 광주사범학교를 폐교했다.

이와 함께 1960년 3월 8일 대전 시민과 학생들이 독재정권에 맞섰던 ‘3·8민주의거’의 역사적 의미와 숭고한 정신을 길이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3·8민주의거 기념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 내년부터 정부행사로 거행된다.

3․8민주의거는 1960년 3월 15일 정․부통령 선거를 앞둔 자유당정권은 이승만, 이기붕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경찰력을 앞세워 야당을 탄압하고, 각종 부정부패를 자행하는 등 민심이 극에 달했을 때 이에 반발한 대전의 학생 1,000여 명이 3월 8일 대전 공설운동장에서 열린 민주당유세 시간에 맞춰 일제히 거리로 나서 독재정권을 타도하자는 항의 시위에 나선 사건이다. 이는 대구 2․28민주운동, 마산의 3․15의거와 함께 전국학생 시위의 도화선이 된 역사적인 사건으로 4․19혁명의 단초가 됐다.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기념일’ 4월 13일에서 4월 11일로 변경된다. 정부는 1989년 12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을 4월13일로 제정하고, 1990년부터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을 거행했다.

그러나 첫 번째 국가기념식 이후 1991년부터 실제 임정에서 활동했던 분들을 중심으로 기념일 날짜가 옳지 않다는 의견이 개진됐고, 임정의 연구가 활발히 이뤄진 2006년부터 학계에서 문제를 제기, 지금까지 논란이 지속돼 왔다.

국가보훈처는 20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앞두고 기념일 논란을 종식시키고자 2017년 하반기에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기념일의 합리적 획정 방안”에 관한 정책 연구용역을 시행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역사학계는 올해 3월 학술 심포지엄을 통해 “국호와 임시헌장을 제정하고 내각을 구성한 날이 4월 11일 이므로 이를 바로 잡아야한다.”라고 정부에 제안했다.

국가보훈처는 이를 위한 후속조치로 기념일 날짜 수정을 위한 관련 규정 개정령(안)을 관계부처에 요청했으며, 내년 100주년에는 4월 11일에 기념식을 거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