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4년 1년간 전개되었던 동학농민혁명은 대일항쟁기에 ‘동학란’으로 불리기 시작해, 1970년에 와서야 동학혁명이라 바뀌었고, 이후 동학혁명운동, 동학농민혁명, 동학운동, 동학농민운동 등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명칭이 바뀐 만큼 사회적 인식도 변화했고, 참여자에 대한 명예회복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도종환, 이하 문체부) 장관 소속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명예회복 심의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오는 9월 5일부터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및 유족 등록을 개시한다.

동학농민혁명을 이끈 전봉준 장군의 압송 사진. [사진=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동학농민혁명을 이끈 전봉준 장군의 압송 사진. [사진=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록은 지난 2004년 국무총리 소속 위원회에서 처음 추진했다. 참여자의 애국‧애족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기념사업 추진과 함께, 2009년까지 총 3,644명의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와 유족 10,567명을 명부에 등록했다.

그러나 유족등록을 계속 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위원회를 문체부 장관 소속으로 변경하고 2017년 12월 19일 ‘동학농민혁명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을 개정했다.

유족 등록을 원하는 경우, 유족등록신청서와 유족명단을 작성해 동학농민혁명 기념재단에 제출하면 된다. 신청서식은 재단 누리집(www.1894.or.kr)에서 다운로드 받을수 있고, 문의는 위원회 사무처(063-538-2897)로 하면 된다.

전북 정읍시 덕천면에 있는 동학농민혁명기념관. [사진=동학농민혁명기념관 홈페이지]
전북 정읍시 덕천면에 있는 동학농민혁명기념관. [사진=동학농민혁명기념관 홈페이지]

한편,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와 유족 여부에 관한 결정 및 등록에 관한 심의와 의결을 할 위원회는 5인의 민간위원과 4인의 관계부처 공무원으로 구성되었다. 현재 민간위원으로는 이승우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승우 이사장이 위원장을 맡고, 이기곤 (사)동학농민혁명유족회 이사장, 신영우 충북대학교 명예교수, 이재운 전라북도 문화재위원장, 최민자 동학학회 회장이 참여한다. 정부위원은 문체부 문화정책국장, 기획재정부 사회예산심의관, 행정안전부 지방행정정책관, 국가보훈처 보훈예우국장이 참여한다.

동학농민혁명은 1894년 나라를 위태하게 만든 조선 봉건사회의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우리나라를 침략하고자 둘러싼 외세外勢를 물리치자는 기치를 내걸었던 민중항쟁이었다. 비록 일본의 침략 야욕과 부패하고 무능한 조선의 봉건지배층의 외세 의존에 의해 좌절되었으나, 1894년 이후 전개된 의병항쟁, 3‧1독립운동과 항일무장투쟁에 영향을 끼친 사회개력운동이자 국권수호운동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