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만 되면 북한 가서 땅부터 사겠다는 말이 있었다. 부동산 가격이 치솟으며 부를 축적하는 수단으로 인기를 끌 때 자주 들었던 말이다. 통일이 된다면 북한의 부동산 가치는 어떻게 될까.

최근 『대한민국 부동산의 미래』를 출간한 JD부동산경제연구소의 김장섭 소장은 투자가치에 관해 최상의 그리고 최악의 시나리오로 투자대책을 제시한다.

 

독일의 경우 통일 후 동독의 토지 소유권 관련 반환소송이 250만 건에 달하며 국가적인 소송 행렬이 이어졌다. 통일 후 동독은 우후죽순으로 소유권을 주장하며 나섰다. 대한민국 역시 독일의 전례를 피해갈 수는 없을 것이다. 공산주의 이념의 기반으로 '무상몰수', '무상분배'가 진행되어 대부분의 토지 소유권이 모호해졌기 때문이다.

통일이 되면 북한지역이 오를까, 서울과 수도권 지역이 오를까?
마찬가지로 독일의 선례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임금평준화 정책으로 동독 주민의 저임금은 급격히 상승해 제품의 가격경쟁력이 붕괴되며, 지역으로의 이점을 잃었다. 게다가 낙후된 시설의 동독지역에 비해 월등히 발전된 서독으로 매년 20만 명씩 이주했다. 1989년 1870만 명에서 2007년 1670만 명으로 200만 명 이상의 인구가 서독으로 이주한 것이다. 결국 동독 100만 호가 비어 있으며, 이중 30만~40만 호는 향후 공적자금을 투입해서 철거하게 된다고 한다.

대한민국의 경우도 같다. 서울 및 수도권에 집중된 산업인프라와 교육입지로 인구가 몰릴 확률이 높다는 예측이다. 물론 공적자금이 투입되며 지방으로 인구가 분산되기는 하겠으나, 여러 가지 조건을 볼 때 최상과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도 오르는 곳은 서울과 인근지역의 가치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

 

그럼 투자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북한 땅은?
통일이 되면 남한처럼 북한도 항구 근처에 대단위 산업단지가 조성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대륙으로 이어지는 국경지역에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등 수출에 용이한 환경으로 조성될 확률이 높다.

주목해야 할 부분은 항구지역이다. 석유화학, 철강, 조선 등 바닷길을 활용한 동선을 활용해 운송비를 절감하고, 수출무역 시장증진에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나진항은 중국과 러시아, 최근에는 몽골까지도 임차를 요청할 만큼 전략적인 요충지로 투자에 주요지역이다.

도서 『대한민국 부동산의 미래』의 김장섭 저자는 “조지소로스 등 세계적 대 부호들이 북한지역 개발에 전 재산 투자의사를 밝혔다. 한민족으로서 북한 지역의 가치를 명확히 판단하고 준비하는 시각이 필요하다”라며 투자에 대한 비전을 밝혔다.

도서 『대한민국 부동산의 미래』는 분기점의 기로에 선 대한민국 부동산의 현실과 미래에 대해 망라한 투자자문서다. 최상 그리고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살아남을 방법, 즉 어느 경우에도 오르는 교집합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