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교과서의 국정교과서 전환 여부를 놓고 찬반 양측의 의견 대립이 팽팽하다. 교육부는 이달 말까지 현재 8종의 교과서 가운데 하나를 국정교과서로 선택하겠다고 밝힌 후 이를 찬성하는 측과 반대하는 측의 공방이 거세다.

정부와 새누리당은 하나의 역사를 가르쳐 국민이 분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검인정 체제인 현재의 역사교과서 선정·공급 방식이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하나의 역사를 가르치는 것이 국가의 임무'라고 주장한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지난 2일 국회 교섭단체대표연설에서 “학생들이 편향된 역사관에 따른 교육으로 혼란을 겪지 않도록, 철저하게 사실에 입각하고 중립적인 시각을 갖춘 국정역사교과서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반면 국정화를 반대하는 측의 반발 역시 만만치 않다. 이들은 “과거 독재정권에서 경험했듯 집권 세력이 역사를 왜곡하고, 창의적이고 다양한 민주적인 교육은 불가능하다”며, “국정화는 정치·사회적 갈등을 키우고 역사교육을 뒷걸음치게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반대하는 역사·역사교육 연구자 1,167명은 지난 9일 오전 서울 흥사단 강당에서 ‘박근혜 정부 국사교과서 국정화 시도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서에서 “헌법에 명시된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하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국정교과서를 반대하는 측은 현행 8종의 검정교과서 체제가 서로 다른 내용을 담고 있어 문제라면 교육과정과 집필 기준을 통해 바로 잡는 것이 맞다고 주장한다. 한 가지 역사해석을 주입하는 국정교과서는 역사 교육의 본질에 어긋나는 것이라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다.

현재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4개국 가운데 국정역사교과서를 사용하는 곳은 그리스, 멕시코, 아이슬란드, 터키, 칠레 등 6개 국가이다. 미국 프랑스 영국 독일 일본 등 대다수 국가는 현재 우리나라와 같이 정부의 승인을 받은 다양한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다.

국정교과서 전환을 두고 양측의 주장이 워낙 팽팽하게 맞서면서 또 하나의 이념 갈등 문제로 확대되는 건 아닌지 우려된다. 역사교과서를 국정으로 하느냐 검정으로 하느냐의 논란은 교과서 집필진들이 사실에 입각하여 기술하지 못 하고 자신의 이념에 따라 기술하는 데에 기인하고 있다. 역사교과서는 편향된 역사관에 따른 교육으로 학생들이 혼란을 겪지 않도록 사실에 입각하여 집필하도록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역사교육은 자신에 대한 정체성과 자신이 속한 문화에 대한 긍지를 가지고 현재와 미래를 바라보는 통찰력을 얻기 위함이다. 더구나 지구상에 마지막 분단국으로 평화적으로 통일을 이루기 위해 화합할 수 있는 중심철학이 필요하다. 그 답을 바로 역사 속에서 찾아야 하지 않을까?
 

 

글. 전은애 기자 hspmaker@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