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5일 광복 70년 기념식 경축사에서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고 평화통일을 이루자고 강조했다. 우리 민족이 다시 하나 되면 또 다른 역사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했다. 이를 한강의 기적을 넘어 한반도의 기적이라고 표현했다. 바야흐로 통일의 시대를 열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역대 대통령마다 통일을 위한 다양한 청사진을 그렸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1990년 ‘남북 자유왕래’를 제안했다.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은 2000년 ‘철의 실크로드와 한반도 시대’를,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4년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대를 말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10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통일세를 언급했다. 
 
전문가 또한 한반도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서 비용 이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의견이 대체로 많다. 통일준비위원회는 2050년 통일 한국의 1인당 GDP는 7만 달러에 달하고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2위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북한 지하자원의 가치만 7천 억원이라는 조사가 있는 등 통일비용보다 통일편익이 더 크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밋빛 미래와 달리 청소년의 통일의식 수준은 낮은 현실이다. 지난해 통일부가 전국 초중고생 11만 6천 명을 대상으로 한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에서 청소년의 53.5%만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통일이 불필요하다는 의견은 19.7%에 달했다. 정치권에서 통일에 대한 논의가 무성한 것과 달리, 미래의 통일세대는 ‘나와 상관이 없다’라는 반응이다.
 
문제는 통일교육의 시간과 내용이다. 교육부는 올해 통일교육을 초중고등학교에서 연간 8시간씩 가르칠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의무사항이 아니다. 따라서 통일교육을 한 번도 받지 않고 졸업하는 학생이 생길 수가 있다. 또한 통일교육을 받은 청소년의 31.4%는 ‘교육내용이 너무 지루하거나 어려워서’를 꼽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정부는 학생들에 대한 통일교육을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통일교육 전문가 양성으로 학생들의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을 전개해야 한다. 국학원과 국학운동시민연합 등 시민단체의 나라사랑 통일교육의 성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물론 청소년의 인식이 하루아침에 바뀌지 않는다.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고 하지 않는가? 지난 70년 분단의 역사를 마감하려면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통일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