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가운데 자리잡아 많은 사람이 한번쯤 올라가봤을 친근한 앞산 남산. 이 산에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굴곡진 역사가 숨겨져 있다는 것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서울역사박물관은 광복 70주년 특별기획전으로 8월 7일(금)부터 11월 1일(일)까지 '남산의 힘'展을 1층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 전시는 대일항쟁기와 근현대시기를 거치면서 권력 등의 힘에 의해 크게 훼손되었다가 다시 우리 곁으로 돌아온 남산의 변화를 250여 점의 관련 역사 자료로 생생하게 보여준다.

 전시는 시대순으로 크게 조선시대 ▴1부 목멱, 한양의 안산,▴2부 식민통치의 현장, ▴3부 국민교육장 남산, ▴4부 돌아온 남산으로 구성하였다.

목멱, 한양의 안산 겸재 정선, 김홍도 그림으로 만나는 남산

 1부에서는 남산이 한양의 내사산 중 하나로 한양의 수호 산이자 친근한 앞산으로 자리 잡는 과정이 전시된다. 남산은 국가제사의 공인된 공간이자 민간신앙의 성지로서 조선초기부터 국사당과 와룡묘, 남관왕묘 등이 자리 잡고 있었다. 또한 아름다운 풍광을 배경으로 관리들의 계회 등 풍류의 장소로도 각광받았다. 사도세자가 쓴 '남관왕묘비명'을 비롯하여, 겸재 정선의 '목멱산도' (백납병풍), 김홍도의 '남소영도', 김윤겸의 '천우각 금오계첩' 등 쟁쟁한 조선화가들의 필치로 남겨져 있는 남산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 김홍도의 '남소영도' 18세기,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사진=서울역사박물관>

황국신민의 언덕 - 남산 조선신궁

 2부 ‘식민통치의 현장’에서는 대일행장기 남산이 겪게 되는 슬픈 훼손의 역사가 펼쳐진다. 1880년대부터 일제는, 임진왜란 때 일본군 주둔지 ‘왜성대(남산 북쪽일대)’ 지역에 일본공사관, 통감부, 통감관저 등을 설치하였다. 급기야 1910년 8월 22일에는 데라우치 통감와 이완용이 한일늑약을 체결하면서 남산은 국권상실의 현장이 되고 만다.

일제에 의해 가장 심각하게 훼손된 지역은 전망이 좋은 남산 회현자락이었다. 일제는 이곳에 여의도의 두 배에 가까운 43만㎡의 대지를 조성하여 조선신궁을 세우고 신사참배를 강요하였다. 이 밖에도 남산에는 일본인 거류지였던 왜성대에 경성신사, 경성호국신사, 노기신사 등이 있었다. 조선의 정신을 훼손하려는 시도는 이에 그치지 않았다.  충신을 기려 만든 장충단을 장충단공원으로 개조하고 그 안에 이토 히로부미를 기리는 사당 박문사를 지었다. 

▲ 노기신사의 수조(1934). 남산원. <사진=서울역사박물관>

 환경의 파괴도 심각했는데, 남산을 일본식 대공원으로 개조하기 위해 우리 전통 소나무 대신 벚꽃과 아까시나무를 계획적으로 이식시켰다.

 식민통치의 현장 코너에서는 '한국병탄늑약 및 양국황제조칙의 공포에 관한 각서'(1910), '경성부남산공원설계안'(1917), '조선신궁전경도', '노기신사 수조' 등 일제의 남산개조를 통한 황국신민화 정책의 실체를 보여주는 자료들이 대거 전시된다. 특히 '노기신사 수조'는 남산 내에서 완형을 유지하는 거의 유일한 식민유산으로 노기신사터에 자리잡은 남산원 측의 배려로 이번 전시를 통해 공개된다.

국민교육장 남산 - 한국현대사의 압축공간


  3부에서는 1945년 8.15 광복 이후 현대사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으로 남산을 이야기한다. 해방 이후, 다시 남산은 냉전으로 분단된 나라의 상징 공간이 되어 좌익 집회가 주로 열리는 이념의 무대가 되기도 하였다. 또한 조선신궁 자리에는 건국 대통령의 초대형 동상이 세워지고, 국회의사당 부지조성 공사가 진행되기도 하였다.

 1960년대 이후 거대도시가 된 서울 속의 남산은 콘크리트 바다 가운데 푸른 섬이 되어갔다. 또한 남산은 국민교육장이 되어 반공을 주창하는 자유센터가 장충동에 들어서고, ‘애국애족’의 동상들이 산 중턱에 무수하게 세워졌다. 또 산 아래에는 국가와 정권 수호의 방패 역할을 했던 중앙정보부와 수도방위사령부가 자리를 잡았다. 특히 41개동 건물의 무소불위 ‘중정’은 ‘남산’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 인혁당 재건위 사건 피고인들의 진술서(1975)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제공.

 한편 정부의 경제발전 드라이브 속에서 남산은 공원용지 해제를 통해 급속히 개발되었다. 거대한 외인아파트와 각급 호텔이 다수 들어섰고 도로와 터널이 남산을 관통하였다. 야외음악당, 도서관, 국립극장 등 시민 위락시설과 함께 남산 케이블카와 전파송신탑(서울타워)도 이때 세워지게 된다. 지나친 개발정책은 향후 남산에 대한 보호의식을 점차 싹트게 하였다.

권위주의 공간에서 시민의 공간으로

 4부는 1990년대 탈권위주의 시대에 들면서 남산이 ‘자연’, ‘사람’, ‘역사’의 공간으로, ‘우리들의 남산’이 되는 과정과 함께 남산의 아름다운 모습과 남산 관련 최근의 주요 이슈들을 소개하였다.

 ‘남산 제모습찾기 사업’은 권위주의 청산과 자연환경 문제가 제기되면서 시작되었다. 안기부와 수도방위사령부가 남산에서 떠나갔고, 경관을 훼손했던 외인아파트가 폭파‧철거되었다.

 최근에는 자연환경 복원과 시민 휴식공간 조성을 위한 시설철거 사업이 오히려 역사의 기억을 지운다는 문제제기가 되기도 하였다. 안기부터를 인권기념관 등 평화의 공원으로 조성하자는 목소리 같은 남산을 되살리려는 다양한 노력들이 오늘도 활발하다. 

 전시 마지막 부분은 우리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은 남산을 시민들의 눈을 통해 보는 코너로 마련하였다. ‘추억 속의 남산’ 코너로, 5월 15일부터 6월 30일까지 시민공모를 통해 모은 사진들 중 30점을 선정하여 전시한다. 사진과 사진에 얽힌 이야기를 통해 남산에 대한 시민들의 추억을 공유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