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65세 이상 남성은 65세 미만보다 '만성 신부전증'이 발생하는 비율이 10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남성은 65세 미만보다 '만성 신부전증'이 발생하는 비율이 10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9~2013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만성 신부증을 앓은 사람이 2009년 9만 596명에서 2013년 15만 850명으로 1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009년 5만 3,619명에서 2013년 9만 2,080명으로 연평균 14.5% 증가하였고, 여성은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12.3% 증가하였다.

2013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302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366명, 여성이 237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1.55배 더 많았다.

연령별로는 80세 이상이 1,758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70대 1,520명, 60대 856명 순(順)으로 나타났고, 남성 진료인원은 여성에 비해 80세 이상에서는 2.57배, 70대는 2배, 60대에는 1.86배 많았다.

65세 이상 진료인원은 65세 미만의 8.81배이고, 남성은 10.12배, 여성은 8.07배 많았다.

▲ 2013년 인구 10만 명당 성별‧연령별 ‘만성 신부전증’ 진료현황(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만성 신부전증이란, 콩팥이 기능이 떨어지는 현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질환으로 몸이 붓고, 쉽게 피로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발병 원인은 다양하나, 주로 당뇨나 고혈압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당뇨나 고혈압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지나친 염분 섭취를 피하고, 신장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소염 진통제와 같은 약물이나 검사제 오남용에 주의해야 한다. 무엇보다 신장기능 손상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기 전까지 환자는 별다른 증상을 느끼지 못하며 이로 인해 만성 신부전의 진단이 늦어질 수 있어, 주기적인 혈액검사 및 소변검사를 통하여 신장합병증 여부를 조기에 확인하는 것이 만성 신부전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글. 전은애 기자 hspmaker@gmail.com